
새해 예고됐던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논의가 지연되고 있다.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 코로나19 감염 위중증 추세와 목표치에 미달한 백신접종률은 물론 중국의 대유행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규모는 감소세지만, 위중증 환자 수는 높은 수준을 유지중이다. 11일 중대본에 따르면 1월 1주(1~7일) 일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5만9천239명으로, 직전주(12월 4주)보다 9.6% 줄었다. 12월 3주 이후 2주 연속 감소세다. 향후 유행세를 가늠할 수 있는 감염재생산 지수는 0.95로 12주 만에 1 밑으로 내려왔다.
반면 1월 1주 위중증 환자 수는 일평균 597명으로 직전주 대비 2.9% 증가한 상태다. 이에 방역 당국은 이날 유행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위험도를 '중간'으로 유지했다.
작년 당정 '권고 변경' 가닥 불구
중국발 코로나 유행 부정적 요인
지난해 당정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와 관련 일정 기준을 충족할 경우 권고로 변경하고 요양원과 병원, 약국, 사회복지시설 등에 대해서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유지하기로 가닥을 잡은 바 있다.
감염세가 꺾이고 있는 데다 병실 확보 등 의료문제에도 차질이 없어, 이를 권고로 변경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판단에서다.
새 변이 국내 유입 가능성 등 고려
WHO도 비행기 승객에 착용 권고
하지만 새해 들어 우리와 이웃한 중국 내 유행이 거센데다 고령자 백신 접종률마저 여전히 낮아, 국민들의 불안이 커지면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2~7일 단기·장기 체류자와 내국인 등을 아우르는 중국발 입국자의 코로나19 검사 양성률은 19.6%를 기록했다. 5명 중 1명이 양성인 셈이다. 특히 새 변이가 국내에 유입될 경우 또다른 대유행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강력한 전파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오미크론 변이가 급격히 확산하자 세계보건기구(WHO)는 최근 장거리 비행을 하는 승객들에게 마스크를 착용하라고 권고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방역당국도 "확진자 수, 백신 접종률 등 관련 지표와 해외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논의해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을) 추진하겠다"며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