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jpg
사진은 분당신도시 전경. /경인일보DB
 

서울지역의 부동산 거래가 규제 해제 전후로 살아나는 분위기인 반면, 앞서 규제가 해제된 경기도는 오히려 상승세가 더딘 모습이다. 경기도 부동산을 주목했던 서울시민들의 눈도 다시 서울 아파트로 향하는 모양새인데, 올 1월 서울지역 규제 완화를 계기로 수도권 내 부동산 양극화 양상이 갈수록 짙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30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건수는 733건으로, 전월(559건) 대비 31%인 174건 증가했다. 12월에도 828건을 기록해 13%인 95건이 늘었다. 2개월 연속 거래가 증가한 것이다.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서울지역 대부분이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규제에서 해제된 이달엔 428건이 거래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1월 거래의 신고기한이 다음 달 말까지인 만큼, 실제 거래 건수는 지난달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역 부동산 업계에선 규제 완화 후 매수 문의가 늘어났다는 반응이다. 

서울보다 규제지구 해제 앞섰지만
지난달 +3% 수준… 매매증가 더뎌
서울시민 매입비율 하락 '심화 예고'

서울보다 앞서서 규제가 대부분 해제된 경기도 역시 지난해 11월과 12월 거래가 소폭 늘어났지만, 상승세는 서울에 미치지 못했다. 경기부동산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도내 아파트 매매거래는 3천56건으로, 전월(2천719건)과 비교했을 때 12%인 337건 증가했다. 12월엔 3천141건을 기록해 3% 가까운 85건이 늘었다.

증가폭이 서울의 3분의1 수준이었던 셈이다. 경기도의 경우 지난해 11월 대부분의 지역이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규제에서 해제됐지만 오히려 그 시기 거래 증가세는 여전히 규제가 유지되던 서울에 못미쳤다.

서울 부동산 거래가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살아나는 데는 경기도 부동산을 바라보던 서울시민들이 다시 눈을 서울지역으로 돌리는 점도 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부동산원의 부동산정보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경기도 아파트를 매입한 서울시민의 비율은 14%였지만 순차적으로 낮아져 지난해 11월엔 9.7%를 기록했다. 반면 서울시 아파트를 매입한 서울시민의 비율은 지난해 7월 이후 꾸준히 79% 수준을 유지했고 10월엔 81%로 오히려 증가했다.

이런 양상은 서울지역 규제 해제 효과가 본격화될수록 더 심화될 수 있다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서진형 경인여대 교수는 "규제 완화에 따른 수요가 수도권 내에서도 핵심 지역으로 몰리면서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양극화뿐 아니라 수도권 지역 내의 양극화도 심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