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버스업체가 코로나19, 국제 유가급등이라는 이중고를 호소하며 시내버스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코로나로 줄어든 승객은 회복되지 않고 유류비는 오르는 데다, 도가 추진 중인 시내버스 준공영제까지는 3년을 버텨야 한다며 시내버스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2일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이하 버스조합) 등에 따르면 코로나 이전인 2019년 하루 평균 수입금이 44억원이었는데, 지난달 1주일 평균 수입금이 34억원에 그쳤다. 현재 1주일 평균 수입금이 코로나 이전의 하루 평균 수입금보다도 적은 셈이다. 2019년과 2021년 매출액을 비교하면 5천681억원 감소했다.

여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여파로, 2020년 12월 ℓ당 1천177원이었던 경유가격은 지난달 1천687원으로 올랐다. CNG 가격도 같은 기간 ㎥당 640.35원에서 1천637원으로 폭등했다. 도내 버스의 절반가량이 CNG 버스인 만큼, 버스업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경기도 업체, 코로나·유가 이중고
道 "도민 부담… 상황분석후 대책"


어려움을 타개하고자 버스업계는 2천억원대 자산을 매각하고 버스 노선도 9천대가량 감축하는 등 자구책을 마련했고 도에선 적자노선지원금 예산 확대와 함께 지난해 311억원 규모의 유류비 특별지원까지 나섰지만, 경영난은 여전하다는 분위기다. 게다가 도에서 추진 중인 준공영제 전면 시행도 2025년까지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버스조합 관계자는 "코로나 이후 재택근무, 비대면 활동 등이 늘어나는 등 사실상 승객이 회복되긴 어려워 보인다. 또 기사들도 임금이 더 높은 서울시, 인천시 등으로 이직을 많이 해 경영난이 심각하다. 일부 업체는 코로나 이후 사모펀드에 매각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버스조합은 준공영제를 도입한 서울시도 최근 대중교통 요금 인상을 검토하고 있는 만큼, 경기도 버스 요금도 조정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경기도는 버스 업계의 어려움에 공감한다면서도 요금 인상에는 선을 그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시내버스 요금 부담 완화를 공약한 데다 요금 부담이 고스란히 도민들에게 돌아간다는 부담이 있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지난 2019년 수도권 지자체 중 유일하게 버스 요금을 올렸다"면서 "다만 국제 유가 상승 등 종합적인 상황을 분석해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