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도심에서 주거 환경이 공간적으로 양극화되는 '주거지 분리'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인천연구원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천연구원이 7일 발표한 기초연구 '인천 원도심 주거지 분리 특성 분석' 보고서를 보면, 인천은 아파트 위주 주택 공급 정책이 지속하는 과정에서 신도시와 구도심 간, 또는 구도심 내부에서 주거지 분리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주거지 분리는 도시 내 주거 공간이 여러 계층이나 지역 특성에 의해 이질적 공간으로 구분되는 현상으로, 부정적 의미를 담고 있다. 


지역 단독주택 밀집지 감소 뚜렷
임대료 높은 지역일수록 '아파트'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인천이 다른 지역보다 단독주택 밀집지가 두드러지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2000년 단독주택 비율이 50% 이상인 인천 행정동은 30개였는데, 2020년 기준 동구 송림2동과 금창동 2곳으로 줄었다. 인천에서 단독주택 밀집지가 많은 기초자치단체는 중구, 동구, 미추홀구 등 구도심이다. 부평구는 단독주택 밀집지가 대거 사라지고 아파트나 연립·다세대주택이 들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아파트 밀집지는 경제자유구역과 택지 개발로 신도시가 조성된 남동구, 연수구, 서구가 많다. 연립·다세대주택 밀집지는 미추홀구, 남동구, 서구가 많으며, 인천도시철도 개통 등으로 교통 여건이 개선된 지역에 밀집하는 경향을 보인다.

지역별 주택 임대료를 살펴보면 서울 접근성이 좋은 부평구와 계양구 일대 임대료가 높고, 공업지역이 인접한 중구, 동구, 서구 일대는 임대료가 낮은 주택이 밀집했다. 낮은 임대료 수준의 단독주택과 연립·다세대주택일수록 특정 지역에 밀집되는 주거지 분리 현상이 발생하고, 임대료가 높은 주택이 밀집한 지역일수록 500가구 이상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집단으로 모여 있는 특성이 나타났다.

공공 차원 맞춤형 관리정책 제언
부동산 침체로 양극화 심화 우려


이처럼 인천 지역별 주택 유형과 임대료 등을 분석하면 신도시와 구도심 간 주거지 분리가 뚜렷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진은 구도심 내부에서도 주거지 분리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구도심에서 민간 차원의 개발사업은 사업성이 좋은 특정 지역에서만 추진되기 때문에 사업성이 없는 지역은 주거 환경이 더욱 열악해지고 쇠퇴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노후 주거지 관리·정비를 민간 차원에 의존하는 정책 방향에서 벗어나 공공 차원에서 주거지의 특성과 한계를 반영한 맞춤형 관리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인천연구원 조상운 선임연구위원은 "부동산 경기가 좋은 상황에서 재개발사업이 활성화한다면 주거지 분리 양상은 완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부동산 경기가 침체해 사업 추진이 곤란하면 사업 여건이 어려운 노후 저층 주거지는 주거지 분리에 따른 공간적·사회적 격차가 커질 우려가 있어 주거지별 맞춤형 관리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