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0801000313500014051.jpg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공개한 '경기도 여성폭력 실태조사'의 여성 폭력 피해경험 설문조사 결과. /경기도 제공

경기도 여성 6명 중 1명은 최근 1년간 성희롱 피해와 정서적 학대를 겪고, 3명 중 1명은 '우리 사회가 여성폭력 범죄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8일 세계여성의 날을 맞아 '경기도 여성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성희롱 17.5%… 정서적 폭력도 17.2% 피해
폭력 경험, 반복 피해율 높은 것으로 드러나
최근 1년(2021년 9월~지난해 8월)간 피해 경험을 물은 결과 성희롱이 17.5%, 정서적 폭력(정서적 학대와 통제 행동 등) 17.2%, 경제적 폭력(금전적 재원 등의 이용을 막는 것) 11.1%, 성추행(미수 포함) 8.2%, 신체적 폭력(때리기, 무기로 위협 등) 7.2%, 스토킹 3.6%, 강간(미수 포함) 1.6% 순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폭력, 경제적 폭력, 신체적 폭력은 '친밀한 파트너'가 피해를 입혔는지로 물어봤다. 유엔 여성폭력통계 가이드라인에서 말하는 '친밀한 파트너'란 배우자, 전 배우자, 연인, 전 연인, 사실혼 관계 등이다.

특히 각각의 폭력 경험은 반복 피해율(가해자가 동일 인물)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피해율은 정서적 폭력 60.7%, 경제적 폭력 50.8%, 신체적 폭력 47.2%, 스토킹 62.5%, 성희롱 20.0%, 성추행 50.0%, 강간 81.8%로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여성 981명에게 우리 사회의 여성폭력 범죄로부터 안전도를 질문한 결과, '안전하지 않다'가 33.5%로 '안전하다'(30.0%)보다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2023030801000313500014052.jpg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공개한 '경기도 여성폭력 실태조사'의 정서적 폭력 피해 경험 설문조사 결과. /경기도 제공

폭력을 한 번이라도 경험한 여성 448명에게 피해 대응 방안을 물으니 '아무런 대응을 하지 못했다'가 29.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리를 피하거나 도망갔다' 26.3%, '상대방에게 문제 제기하고 사과를 요구했다' 17.2%, '화제를 돌렸다' 12.7% 순이었다. 대응하지 못했다는 여성 134명은 이유로 '대응을 해도 별다른 소용이 없을 거 같아서' 30.6%, '주변에 피해 사실이 알려질까' 29.9%를 주로 답했다.

피해 경험자 448명은 우울함 40.4%, 불안 25.0%, 고립감 13.6% 등의 피해 증상을 주로 호소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부터 10월 24일까지 도내 19세 이상 75세 이하 여성 981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유엔 여성폭력통계 가이드라인 등 국제표준을 참고해 정서적 폭력, 경제적 폭력, 신체적 폭력, 스토킹, 성적 폭력(성희롱, 성추행, 강간) 등 여성폭력을 5가지로 유형화해 조사했다.

정혜원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정책연구실장은 "친밀한 관계에 의한 여성폭력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와 정책이 촘촘히 마련돼야 한다"며 "특히 피해자 지원 사각지대 해소 방안을 마련하고, 사전예방에 목적을 둔 맞춤형 예방 정책과 조기 개입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