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_2.jpg
사진은 여주시 공공산후조리원 신생아실. /경인일보DB

 

경기·인천지역에 위치한 산후조리원의 수가 5년 사이 20%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 추이에 따른 영향인데, 같은 기간 조리원 이용료는 수십만원 이상 오른 곳이 많았다.

경기도의 경우 산후조리원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도민들을 위해 평택·안성에도 공공산후조리원을 설치키로 하는 등 조리원을 공적 영역으로 편입시키고 있다. 


경인지역 5년새 20% 가량 감소
평택·안성에 '공공조리원' 설치


12일 보건복지부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 기준 전국 산후조리원 수는 475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5년 전인 2017년 598곳에 비해 20.5% 감소한 것이다. 이는 출산율 감소에 따른 것으로,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다.

수도권에서는 인천이 25% 감소했고 서울(22.67%), 경기(17.88%) 등의 순으로 산후조리원 수가 크게 줄었다.

산후조리원 전국 평균 이용요금(2주 일반실 이용 기준)은 2017년 241만원에서 2022년 307만원으로 27.4%가량 상승했다.

평균 가격은 서울이 2017년 317만원에서 지난해에는 410만원으로 100만원 가까이 올랐다. 이어 경기도가 312만원, 제주가 307만원으로 뒤를 이었고 인천 294만원 순이었다.

지난해 기준 가장 비싼 방은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D조리원의 특실로, 2주 가격이 3천800만원에 달했다.

한편 경기도는 2026년까지 안성과 평택에 공공산후조리원 2개소를 추가 설치키로 했다. 이로써 여주와 포천에 이어 총 4개의 공공산후조리원이 확충될 전망이다.

공공산후조리원 2개소 확충은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민선 8기 공약 '공공산후조리원 등 4대 필수 의료시설 조성 지원'의 하나로, 도가 설치비로 총 76억원의 도비(안성 55억원·평택 21억원)를 지원하는 내용이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