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전략산업 유치 계획이 정부와 엇박자를 내고 있다. 정부가 15일에 발표한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사업은 경기도 용인과 기존 반도체 생산 단지인 화성, 평택, 이천을 연결하는 세계적 규모의 사업에 반도체 도시로 자임해온 인천은 제외되었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지난해 10월 '인천 반도체 특화단지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특화단지 육성전략을 준비해 왔으며 2월 27일, 영종경제자유구역 369만7천㎡ 부지에 반도체 패키징 관련 100여 개 기업을 유치하는 내용을 담은 특화단지 지정신청서와 육성계획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한 바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고 있는 특화단지는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전략산업, 전략기술 관련 산업·연구·교육시설 등을 '혁신 생태계'로 조성하는 사업이다.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인허가 신속 처리, 기반 시설 구축과 세제 혜택, 인력 양성 등의 정부 지원과 특별 혜택을 받게 된다. 또 향후 9년간 추진될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안정화에는 국비 2천265억원, 시비 1천510억원, 민간 4천188억원 등 7천963억원이 투입된다.

그런데 용인에 구축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는 총 300조원이 투자되며 첨단반도체 제조공장(팹) 5개, 반도체 설계기업(팹리스)을 비롯하여 후공정(패키징)까지 포함된 총체적 생태계가 조성된다는 점이다. 특히 후공정 산업 분야에만 총 24조원이 투자되며 반도체의 미세 공정의 한계를 보완하는 첨단 패키징 분야로 향후 후공정 산업을 선도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패키징 융합연구소와 패키징 기술센터, 패키징 관련 소부장 공급망 등의 후공정 산업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다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워 특화단지 유치를 추진해온 인천시로서는 복병을 만난 셈이다.

인천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발표는 국가산업단지 조성과 관련된 사항으로 시가 지원한 반도체 특화단지와는 별개 사항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반도체 클러스터와 연계되지 않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불리한 여건이며, 후공정 산업이 용인과 중복된다. 한편 인천시의 전략산업으로 내세워 온 바이오 산업에 대한 정부 투자를 안동과 강릉에 집중하기로 한 결정도 걱정이다. 반도체나 바이오 산업의 우위를 활용하여 산업구조를 첨단화하려는 전략이 무산될 경우 민선 8기의 비전 '뉴홍콩시티' 프로젝트도 공허한 선언으로 끝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