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2월 경기도 평균기온은 -3.9℃로 평년(-0.9℃)보다 매우 낮아 최근 10년 내 두 번째로 추운 12월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겨울철 자연 재난 대책 기간(2022년 11월 15일~ 2023년 3월 15일) 중 대설·한파 종합대책 추진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대책 기간 중 경기도의 평균기온은 -1.9℃로 평년(-1.3℃)보다 낮았고, 한파특보는 53일로 최근 10년 평균(41.6일)보다 많았다.
적설 일수는 23일로 최근 10년 평균(16일)보다 7일 많았고, 대설특보 발효도 14일로 최근 10년 평균(7.8일)보다 2배 가량 많았다.
겨울 동안 대설로 인한 인명 피해는 없었으며, 한파로 한랭 질환자(저체온증, 동상 등)는 사망 2명을 포함해 93명으로 전년 겨울 37명(사망 0명)보다 많이 발생했다.
한편 경기도는 한파와 관련 취약계층 보호에 집중했다. 난방비 부담 없는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한파 쉼터로 지정된 경로당 6천802개소에 난방비 27억 원을 지자체 최초로 추가 지원했고, 재난 안전 특별교부세 13억 원을 투입해 온열 의자, 방풍 시설 등 한파 저감시설을 확충하기도 했다. 도내 취약계층 20만여 명(취약노인 5만 4천 명, 건강 취약계층 15만 명 등)에 대해 노인 맞춤 돌봄서비스 67만 건, 건강관리(안부 확인 등) 31만 건, 거리 노숙인 응급 잠자리 제공 등 상시 보호 지원 대책 등도 추진했다.
연제찬 경기도 안전관리실장은 "서울지방국토관리청 등 관계기관, 시?군과 공조해 대설, 한파 피해 저감 대책을 선제적으로 추진하면서 긍정적 효과를 얻었지만, 일부 인명 피해가 발생해 아쉽다"라면서 "대책 기간 중 미흡한 사항은 2023~2024년도 겨울철 대책 기간에 반영해 더욱 촘촘한 안전망을 구축하겠다"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겨울철 자연 재난 대책 기간(2022년 11월 15일~ 2023년 3월 15일) 중 대설·한파 종합대책 추진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대책 기간 중 경기도의 평균기온은 -1.9℃로 평년(-1.3℃)보다 낮았고, 한파특보는 53일로 최근 10년 평균(41.6일)보다 많았다.
적설 일수는 23일로 최근 10년 평균(16일)보다 7일 많았고, 대설특보 발효도 14일로 최근 10년 평균(7.8일)보다 2배 가량 많았다.
겨울 동안 대설로 인한 인명 피해는 없었으며, 한파로 한랭 질환자(저체온증, 동상 등)는 사망 2명을 포함해 93명으로 전년 겨울 37명(사망 0명)보다 많이 발생했다.
한편 경기도는 한파와 관련 취약계층 보호에 집중했다. 난방비 부담 없는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한파 쉼터로 지정된 경로당 6천802개소에 난방비 27억 원을 지자체 최초로 추가 지원했고, 재난 안전 특별교부세 13억 원을 투입해 온열 의자, 방풍 시설 등 한파 저감시설을 확충하기도 했다. 도내 취약계층 20만여 명(취약노인 5만 4천 명, 건강 취약계층 15만 명 등)에 대해 노인 맞춤 돌봄서비스 67만 건, 건강관리(안부 확인 등) 31만 건, 거리 노숙인 응급 잠자리 제공 등 상시 보호 지원 대책 등도 추진했다.
연제찬 경기도 안전관리실장은 "서울지방국토관리청 등 관계기관, 시?군과 공조해 대설, 한파 피해 저감 대책을 선제적으로 추진하면서 긍정적 효과를 얻었지만, 일부 인명 피해가 발생해 아쉽다"라면서 "대책 기간 중 미흡한 사항은 2023~2024년도 겨울철 대책 기간에 반영해 더욱 촘촘한 안전망을 구축하겠다"라고 말했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