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이 낮을수록 따라 코로나19 우울감 등 심리적 고통이 더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소득 최하위 계층과 최상위 계층 간 코로나19 우울 증상 유병률이 2배가량의 격차를 보인 것인데, 경기연구원은 정신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고서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에게 평등하지 않았다'를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보고서에는 경기연구원이 2021년 3월22일부터 이틀간 전국 17개 시·도 2천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가 담겼는데, 코로나19 에 따른 우울 증상 유병률은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인 소득 최하위 계층(32.8%)과 월평균 가구소득 500만원 이상인 최상위 계층(13.4%)의 격차가 두 배가 넘는 2.4배였다.

2023032301000923500044081.jpg
/경기연구원 제공

불안장애의 경우 각각 46.5%, 27.9%로 그 격차가 18.6%p에 달했다. 또한, 코로나19로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적이 있느냐는 응답률도 최하위 계층이 24.1%로, 최상위 계층 6.74%와 비교하면 약 3.6배 많았다.

가구 구성원별로는 1인 가구의 경우 정신 건강 위험도가 더 컸다. 1인 가구의 경우 우울 증상 유병률은 21.6%, 2인 이상 가구에서는 17.2%로 격차는 4.4%p였다. 특히 남성의 경우 2인 이상 가구일 때 우울 증상 유병률은 14.5%였는데, 1인 가구에서는 22.9%로 늘어나 격차가 1.6배로 벌어졌다.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비율 역시 1인 가구와 2인 이상 가구가 각각 13.5%, 7.7%로 1.8배의 격차를 보였다.

2023032301000923500044082.jpg
/경기연구원 제공

코로나19 기간 우리 사회에 만연했던 낙인 인식도 심리적 고통을 가중한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 사회에 확진자에 대한 낙인 인식을 묻자, '없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우울 증상 유병률은 8.9%였는데 '다소 있다'고 응답한 집단은 17.5%, '매우 심함'이라는 응답 집단은 39.1%로 유병률이 증가했다. 불안장애의 경우 낙인 인식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의 유병률은 18.7%였고 '다소 있다'와 '매우 심함'이라고 각각 응답한 집단의 유병률은 32.7%, 56.3%로 조사됐다.

이런 상황에 경기연구원은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재난에 따른 정신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에 대한 '우선적 중재 프로그램' 마련, 정신건강 인프라에 대한 취약계층들의 물리적, 심리적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찾아가는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팬데믹에 대한 부정적 편견과 낙인 인식을 해소하는 정책 등을 제안했다.

이은환 연구위원은 "앞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팬데믹이 발생했을 때 국민 정신건강 위험이 전염병처럼 확산하는 멘탈데믹(mentaldemic)에 대비해야 한다"면서 "신종 감염병에 대한 불필요한 편견과 공포의 확산을 방지하고 우리 사회의 약자들과 취약계층들의 형편에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ㆍ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