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인적 쇄신을 위해 단행한 당직개편을 둘러싸고 당내 계파 간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친명(친이재명)계 등이 이재명 대표의 당직개편을 '잘 된 인사'라고 두둔하고 나섰지만, 비명계를 중심으로 '대표 사퇴론'과 '임명직·지명직 전원 사퇴' 주장이 거듭 분출하면서 당 내홍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민주당 우상호 의원은 이날 라디오방송에서 "(수석대변인에 발탁된) 권칠승 의원도 청와대 출신이고 김민석, 김성주 의원 같은 경우도 친명계는 아니다"며 "당 사무총장을 빼면 나머지는 다 비명계로 채워졌으니까 이 대표가 통합적 행보 측면에서 보면 상당히 양보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책위의장에 임명된 김민석 의원 역시 "민주당은 (정부를) 견제해야 하는 야당이고, 국회 다수당으로서의 책임도 있다"며 "일을 잘할 수 있는 체제여야 하는데 이번에 비교적 골고루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친명 "비교적 골고루 잘된인사" 두둔
비명 "李대표 물러나야"… 평가절하


그러나 비명계 의원들은 이번 당직개편을 평가절하하며, 이 대표를 겨냥한 사퇴론에 더욱 힘을 실었다.

조응천(남양주갑) 의원은 라디오방송에서 "압도적 지지로 당선된 대표가 스스로 물러나지 않아 끄집어내리는 것도 안되고, 차선책으로 내세운게 방탄 이미지 고착화에 기여한 임명직, 지명직 전원이 물러나라는 것"이라며 "근본적 해법은 이 대표가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라고 압박 강도를 높였다.

그는 조정식 사무총장 유임에 대해서도 "사무총장이 기자간담회를 열어 검찰 수사를 비난하고, 이 대표를 두둔했다. 방탄에 앞장선 것"이라며 "방탄 프레임 공고화에 기여해 왔기 때문에 교체하라고 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상민 의원도 당직개편을 "큰 의미가 있을까 싶고 높이 평가하기 어렵다"고 혹평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지금 당면하고 있는 위기는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 때문이고, 그를 위해서는 이 대표의 거취가 정리될 필요가 있다"며 "그대로 당 대표직을 유지하면서 다른 당직을 바꿨다는 게 과연 얼마나 의미가 있을까 싶다"고 지적했다.

/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