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국회의원 선거가 1년 앞으로 다가왔다. 현역 의원들은 의정활동 성과를 주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리면서 존재감을 높이고 있다. 선거 출마를 염두에 둔 인사들 역시 지역행사와 봉사활동에 참가하는 등 얼굴 알리기에 나섰다. 여야 시·도당은 각종 직능위원회를 구성하고 조직 정비에 나서는 등 선거체제를 갖추고 있다. 선거전이 이미 시작된 분위기다.

현장 분위기와 달리 내년 선거를 치르기 위한 제도적 틀은 갖춰지지 않고 있다. 공직선거법은 '국회가 국회의원 지역구를 선거일 전 1년까지 확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국회는 이제야 선거제 개편안을 논의 중이다. 10~13일까지 의원 100명이 참여하는 전원위원회에서 의견을 모으기로 한 것이다. 기형적인 '위성정당'을 낳은 현행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어떻게 바꿀지, 소선거구제를 보완하기 위해 한 선거구에서 2명 이상 의원을 뽑는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할지 여부가 주요 쟁점이 될 전망이다. 최종 결론이 언제 어떻게 도출될지 미지수다.

공직선거법상 선거구 획정 기준에 맞지 않는 선거구 조정 방안도 여전히 불투명하다. 전국 253개 선거구 평균 인구수인 20만3천281명을 기준으로 인구 편차 33.3%를 가감해 상·한 인구수를 정하게 되는데, 인천·경기지역에서만 상한 인구수인 27만1천42명을 넘긴 선거구가 13개나 된다. 하한 인구 13만5천521명을 밑도는 선거구도 3개다. 인접 선거구와의 소폭 경계조정으로 풀릴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인접 지자체와 하나의 선거구로 묶여야 하는 상황도 예상할 수 있다. 선거구 조정은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선거구 획정이 더 늦어질 경우 선거전에 나서는 후보군의 혼란은 불가피해 보인다.

선거를 치르기 위한 제도적 틀을 갖추지 못하다 보니 인재발굴도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여성과 청년 발탁 방안도 보이지 않는다. 인천의 경우 지난 5차례 총선에서 당선된 지역구 여성 의원은 한 명도 없는 실정이다. 해법이 필요한 지역의 여러 현안이 선거과정에서 여야의 국정 안정론과 정권 심판론에 묻힐 수 있다는 우려도 여전하다. 국회와 정치권이 선거 전까지 풀어야 할 과제가 여전히 많이 남아있다. 국회와 정치권의 더딘 행보가 유권자들의 정치 불신을 키우는 요인이 돼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