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축의금은 오랜 고민거리 중 하나다. 관련된 일화도 있다. 사회초년생과 다를 바 없던 2017년 일이다. 입사 일주일도 채 되지 않았던 때인데 소속부서 선배가 옆자리에서 넌지시 청첩장을 건넸다. 얼떨떨하게 청첩장을 받은 뒤 친구에게 고민을 털어놨다. 친구가 말했다. "계속 볼 선배니까 5만원이면 되지 않을까."
이후 김불꽃 작가의 책 '예의 없는 새끼들 때문에 열 받아서 쓴 생활예절'을 읽게 됐다. 2018년에 출간된 책으로 작가는 축의금 기준을 이같이 정리했다. 기본 5만원, 친하면 5만원 이상, 진짜 친하면 10만원 이상. 기본 식대가 4만원인 만큼 기쁜 마음으로 내자는 취지다.
그러나 책이 출판된 지 5년여가 지난 지금, 과거의 기준을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다. 결혼식 식대가 크게 올라서다. 성남의 한 결혼식장은 올해 초 정식 식대 가격을 기존 5만5천원에서 5만9천400원으로 5천원 가까이 올렸다. 수원의 한 결혼식장 식대도 최근 6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고물가에 예식장 식대도 줄줄이 인상된 것이다.
최근 결혼 소식을 전한 지인도 이 문제로 시름이 깊었다. 5월 예식을 앞둔 A(32)씨는 "상담 다녀본 곳 중에 식대 7만5천원 이하는 없었다. 나이트 웨딩을 택해서 6만원 후반으로 저렴해졌다"고 했다. 그러면서 "예식에 와서 5만원을 내고 밥 먹으면 솔직히 서운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치솟는 물가에 결혼식 비용이 전반적으로 오르면서 신랑·신부는 물론 하객들의 부담도 늘었다. 돈의 가치도 하락해 결혼식에 참석할 거라면 축의 10만원이 기본이 됐다. 축하를 담아야 할 축의금 봉투에 가끔 한숨이 담긴다. 고물가가 낳은 씁쓸한 단면이다.
/윤혜경 경제부 기자 hyegyu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