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4일 더불어민주당의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을 고리로 첨예한 공방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이번 사건을 '이정근 게이트'로 규정하고 맹공을 퍼부은 반면, 민주당은 공식 논평없이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도 정권의 '야당 탄압 기획 수사'가 아니기를 바란다고 응수했다.

국민의힘은 현재 프랑스 파리에 체류 중인 송영길 전 대표에 대해서도 귀국해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압박 수위를 높였다.

김기현 대표는 서울 마포의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관을 방문한 뒤 기자들과 만나 "후보로 뛴 사람이 자기 핵심 측근, 그것도 당선된 다음에 사무부총장을 시킨 사람이 무슨 짓을 한지 모른다는 건 지나가는 소도 웃을 얘기"라며 "(송 전 대표는) 쓸데없는 소리 하지 마시고 빨리 귀국해서 진실이 뭔지 국민들에게 사죄하고 응분의 책임을 지는 게 정치인의 도리"라고 압박했다.

유상범 수석대변인도 "송 전 대표는 이정근의 개인 일탈이라며 꼬리 자르기를 하셨는데, 그렇게 말씀하는 것 자체가 사실상 사후에 인지는 충분히 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박수영 여의도연구원장은 '이정근 게이트'라는 제목의 페이스북 글에서 "이 전 총장의 녹음파일 중 범죄혐의가 의심되는 파일이 2천개가 넘는다는 보도가 있다"며 "앞으로 검찰이 녹음파일을 바탕으로 하나하나 증거를 수집한 뒤 기소할 텐데 엄청난 태풍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가 미국의 도청사태를 묻기 워해 국면전환용 이슈를 만든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를 보냈다.

박찬대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에서 "검찰이 민주당 의원들을 대대적으로 압수수색을 했는데, 참 의아하다"며 "대통령실 도청 의혹이 불거지자마자 2년 전 일을 빌미로 압수수색한 것도 그렇고, 검찰의 제공 가능성이 높은 녹취 파일이 당일 보도 된 것도 검찰의 저의를 의심하게 된다"고 말했다.

같은 당 전재수 의원은 라디오방송에서 "정치적 경쟁 상대의 다리를 부러뜨려서 총선에서 이기려고 하는 윤석열 정부의 기획이 아니길 바란다"며 "녹취 파일 3만 개를 검찰이 오래전에 이미 다 가지고 있던 건데, 그것을 쥐고 있다가 정권이 코너에 몰리거나 집권 여당의 국정 운영에 빨간불이 들어오거나 또는 대통령의 지지율이 많이 떨어졌을 때 검찰이 등장해서 국면을 전환하고 이슈를 덮어버리는 식으로 이용되면 안 된다"고 꼬집었다.

그는 다만 "사건의 실체적 진실을 밝히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 과정을 통해 민주당에게 과거 잘못이 있었다면 당연히 끊어내고 새 출발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의종·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