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수_김포시장_원희룡_장관.jpg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김병수 김포시장이 김포도시철도 골드라인에 탑승해 승객 안전문제 등을 논의하고 있다. /김포시 제공
 

하남 감일·미사 및 수원 광교 등 출퇴근 시간 교통난을 겪는 7개 지구에 급한 불을 끄기 위해 광역버스와 시내버스가 확충된다.

16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따르면 하남권(감일·미사)과 위례, 양주권(옥정·회천), 과천 지식정보타운, 수원 광교 등 7개 집중관리지구의 광역교통 단기보완 대책을 시행한다. 


대광위, 7개 지구 단기보완책 시행
김포골드라인 과밀개선 직영 검토


먼저 하남 감일지구에서는 지하철역까지 가는 시내버스 33번(거여역), 35번(올림픽공원역·잠실역)을 1대씩 증차하고, 38번(복정역)은 2대 늘린다. 오금역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89번은 노선을 조정해 감일지구를 거치도록 한다. 감일지구 남측에는 버스정류장을 2개 신설한다.

미사지구에서는 시내버스 81번(미사역·상일동역)을 2대 증차하고, 87번은 6대 늘린다. 또 5호선 미사역까지 접근성이 좋아지도록 미사지구를 순환하는 마을버스 노선을 신설한다.

위례지구에는 북부지역과 가락시장역을 연결하는 시내버스 노선과 위례 남부지역~남위례역을 잇는 순환형 시내버스 노선을 새로 만든다. 복정역까지 가는 마을버스 노선도 신설한다. 아울러 하남 감일지구와 위례지구에선 인근 지하철역을 연결하는 수요 응답형 교통수단(DRT)을 6대 도입한다.

수원 광교지구에선 광역버스 확충에 집중한다. 광교는 신분당선 연장사업이 지연되면서 출퇴근 교통난이 극심해진 곳이다. 먼저 광교지구에서 사당역까지 가는 광역버스 7000번과 7001노선에 출퇴근 시간대에 전세버스를 1대씩 늘린다.

서울역으로 운행하는 광역버스 M5121번, M5115번 노선과 강남역으로 운행하는 광역버스 M5422번은 국토부 대광위에서 직접 관리하는 준공영제 노선으로 전환해 안정적 운행을 지원한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상현역, 광교중앙역, 광교역 등 인근 철도역을 오가는 마을버스 노선을 1개 신설한다.

양주 옥정·회천지구에는 올 하반기에 덕계역까지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을 신설하고, DRT를 10대 운행한다. 내년에는 DRT를 15대까지 늘릴 계획이다.

과천지식정보타운에는 정부과천청사역까지 가는 시내버스 7번과 마을버스 3번을 4대씩 증차한다. 군포시∼신사역을 잇는 광역버스 3030번은 지식정보타운지구 내 정류장에 추가로 정차하도록 한다.

한편 '지옥철'이라는 오명을 받고 있는 김포도시철도(김포골드라인)의 과밀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김포시가 '직영화 전환'을 검토중이다. 만약 직영화가 결정되면 내년 9월부터 김포시가 직접 김포골드라인을 운영하게 된다. 국토교통부도 김포골드라인 출퇴근 혼잡도 개선에 적극 대응할 뜻을 밝혔다. 혼잡이 극심한 구간에 셔틀버스를 무제한 투입할 계획인데, 풍무·고촌역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김태성·김우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