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주영(김포갑) 의원은 17일 과도한 혼잡도와 안전문제가 부각된 '김포골드라인'을 개선하기 위해 광역교통대책이 조속히 추진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의원이 김포골드라인(주)에서 받은 '2023년 김포골드라인 혼잡 요인으로 발생한 열차, 승강장 내 사고 현황'에 따르면 올해에만 18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최근 3명의 승객이 과호흡과 호흡곤란으로 쓰러진 것을 포함하면, 지난 11일까지 101일간 5일에 한번꼴로 안전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월별로는 1월에 3건, 2월에 5건, 3월에 5건의 안전사고가 잇따라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사고는 주로 승객이 몰리는 풍무역과 고촌역, 김포공항역에서 발생했으며, 열차 내·외 혼잡으로 과호흡 증상을 보이거나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 혼잡으로 인해 밀리면서 압박으로 부상을 입은 경우도 있었다.
김 의원은 "약 100일 동안 18명의 시민이 김포골드라인에서 안전사고를 당했다는 것은 그만큼 골드라인의 혼잡도가 심각을 넘어 위험하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포골드라인 문제는 교통인프라 확충도 없이 신도시 개발을 추진한 데다, 정부가 접경지역인 김포를 비롯해 수도권 서부지역을 번번이 교통인프라 확충 대상에서 제외한 결과"라며 "정부는 김포골드라인 안전사고의 원인 제공과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특히 "신속한 단기대책 실현을 넘어 문제의 근본해결을 위한 광역철도망 구축이 조속히 추진돼야 한다"며 "서울지하철 5호선 김포 연장사업의 조속한 직권 중재와 함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이 김포골드라인(주)에서 받은 '2023년 김포골드라인 혼잡 요인으로 발생한 열차, 승강장 내 사고 현황'에 따르면 올해에만 18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최근 3명의 승객이 과호흡과 호흡곤란으로 쓰러진 것을 포함하면, 지난 11일까지 101일간 5일에 한번꼴로 안전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월별로는 1월에 3건, 2월에 5건, 3월에 5건의 안전사고가 잇따라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사고는 주로 승객이 몰리는 풍무역과 고촌역, 김포공항역에서 발생했으며, 열차 내·외 혼잡으로 과호흡 증상을 보이거나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 혼잡으로 인해 밀리면서 압박으로 부상을 입은 경우도 있었다.
김 의원은 "약 100일 동안 18명의 시민이 김포골드라인에서 안전사고를 당했다는 것은 그만큼 골드라인의 혼잡도가 심각을 넘어 위험하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포골드라인 문제는 교통인프라 확충도 없이 신도시 개발을 추진한 데다, 정부가 접경지역인 김포를 비롯해 수도권 서부지역을 번번이 교통인프라 확충 대상에서 제외한 결과"라며 "정부는 김포골드라인 안전사고의 원인 제공과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특히 "신속한 단기대책 실현을 넘어 문제의 근본해결을 위한 광역철도망 구축이 조속히 추진돼야 한다"며 "서울지하철 5호선 김포 연장사업의 조속한 직권 중재와 함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