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습기자로 현장에 급파된 나는 나흘 동안 침수 피해 현장을 목격했다. 반지하 거주민들은 집안까지 차오른 물을 밤새도록 쓰레받기로 퍼냈고, 먹통이 된 냉장고를 지상으로 옮겨 햇볕에 말렸고, 다음날 비 소식에 짐을 리어카에 실어 인근 교회에 맡기고, 화장실 변기통에서 흐른 똥물에 젖은 옷과 서적들을 폐기 처분했다. 그 참상에 나는 때로 인터뷰하기보다 복구작업을 도왔다. 형식적인 백 마디 질문보다 당장 가용할 수 있는 하나의 몸뚱이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후 정부는 대책을 내놨다. 지하층·반지하층 주택을 공공이 매입 후 리모델링해 지상층을 공공임대주택, 지하층은 비주거용도로 활용하는 방안이 그것이다. 그러나 지난해 두 차례 실시한 공고에서 매입된 반지하 주택은 없었다. 기준에 적합한 매입 물량이 없었다는 이유에서다. 비주택 거주자에게 지원하는 주거상향지원 사업도 더딘 상황이다. 적합한 매물이 부족해 시간이 지연돼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최근 취재차 박달1동을 돌아다녀 보니 여전히 취약계층이 거주하고 있었다. 한 공인중개사 말에 따르면 생계유지 여력이 있는 사람은 떠났고 홀몸노인과 기초생활수급자 등만 남았다고 한다.
한 달 후로 다가온 이번 여름도 심한 폭우가 내릴 예정이다. 이제 남은 대안은 물막이판, 역류 방지시설 등 침수 방지시설을 통해 물을 막는 것뿐이다. 다행히 경기도가 침수 방지시설 설치를 지원한다고 한다. 그곳에 사람이 사는 만큼, 사람이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하는 게 공동체 사회의 의무이자 존재 근거일 터, 확실한 지원을 통해 다시는 재난이 반복되지 않길 바랄 뿐이다.
/김동한 경제부 기자 d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