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기후 변화 대응을 주요 도정 목표로 재차 강조했다. '경기도 기후변화 주간'을 운영하고 도청 내에서 1회용품 사용을 전면 퇴출하는 등 실천적 행동에 나선데 이어 정책 수립을 경기도 간부들에게 당부한 것이다.

10일 김 지사는 도청 다목적회의실에서 주간 실국장회의를 열고 "기업과 경제는 미래에 투자하는 것"이라며 "김대중 대통령 시절 IT, 거슬러 올라가면 박정희 대통령 시절 경부고속도로 모두 당시에는 비판을 받았던 정책이다. 기후 변화에 적극적인 생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김 지사는 "기후 변화와 환경산업 자체가 미래 먹거리로서 좋은 방향타가 될 것이다. 실국 역시 관련되는 일들에 신경을 써달라"며 관련 정책 수립을 강조했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 4월 처음으로 기후변화주간을 운영하며 '리사이클마켓', '온라인 탄소중립 선언', '경기 RE100 비전 선포식' 등의 행사를 열었다. 도 산하 공공기관도 음식물 잔반 없애기나 다회용기 사용 등 개별 캠페인을 통해 참여했다. 


실국장회의서 도정 목표 재차 강조
청사 일회용품 철폐 등 의지 반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즉각 철회"

김 지사의 강한 의지는 청사 운영에서도 읽힌다. 청사 내 카페와 집기 등에서 일회용품을 철폐하고 도지사가 직접 회의나 업무 시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이 때문에 현재 도청 내에서 일회용품이 사용되는 곳을 찾기가 힘든 상황이다.

그는 "기후변화가 자연재난으로 발전될 수 있으니 안전관리실이나 소방본부는 종합적으로 대처해 달라"고도 주문했다. 이날 회의에선 경기도 공유재산 활용방안과 외교적인 문제인 '후쿠시마 원전수 방류' 등에 대한 발언도 내놓았다.

이와 관련 김 지사는 최근 수원 소재 경기도상상캠퍼스와 파주 영어마을을 방문했다.

그는 "여러 가지 공유재산에 대해 그냥 묵힐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방안을 만들어 달라"며 "사회적 경제, 기후변화와 관련해 도의 공유재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후쿠시마 원전수 방류에 대해선 "경기도도 넓은 해양지역이 있다. 그리고 해양과 관련된 산업과 어업, 수산업에 종사하는 도민들도 상당수가 있고, 그뿐만 아니라 수산물의 가장 큰 수요자이기도 하다"면서 "이 문제는 우리 경기도민의 건강과 안전, 또 산업 종사자의 생존권과 관련돼 있기 때문에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 저는 즉각 철회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