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11일 코로나19 관련 방역 조치를 해제하면서, '엔데믹'(endemic·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을 공식화 했다.
이에 따라 다음달 1일부터 코로나19 위기 경보를 '심각'에서 '경계'로, 감염병 등급도 2급에서 4급으로 하향 조정한다. 확진자 격리의무기간이 7일에서 '5일 권고'로 전환되고, 병원 등 일부 시설에 대해 남아 있던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도 사라진다.
道 누적확진 848만여명 전국 최다
최초 '재난기본소득' 논쟁 낳기도
현장 긴장 여전 '격리 권고' 강조
■ 경기도 누적 확진자 전국 최고 수준
국내에선 지난 2020년 1월 20일 첫 코로나 환자가 발생했다. 경기도에선 1월 26일 최초 확진자가 나왔다. 엔데믹까지는 무려 3년 4개월이 걸렸다.
이날 기준 경기도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모두 848만7천976명으로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많다. 인천은 182만명, 서울은 612만명 가량 확진자가 나왔다. 도내에선 76만5천431명이 발생한 수원시에서 가장 많은 확진자가 나왔고 용인(66만1천833명), 고양(65만1천43명), 화성(62만708명) 등이 뒤를 이었다. → 그래프 참조

■ 신천지 급습·전국 첫 재난지원금
경기도는 확진자 발생 규모보다는 코로나19에 대한 행정 대응으로 전국적인 관심을 모았다.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2월 신천지 교단의 대구 집회로 확산이 거세지자 경기도는 신천지 교단 집회시설에 강제 폐쇄 명령을 내리고 신도 명단 확보를 위해 과천본부에 강제 진입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섰다. 당시 이재명 도지사가 직접 가평 신천지 연수원을 방문한 장면이 상징적으로 남아 있다.
경기도는 같은 해 3월 전격적으로 전국 최초 '재난기본소득'(현 재난지원금) 지급에 나섰다. 연령, 소득과 관계없이 모두에게 주어지는 재난기본소득은 전국 단위 재난지원금의 계기가 되며 큰 관심을 불렀다. 다만, 당시 재난기본소득의 보편·선별지원 여부를 두고 경기도와 일부 지자체가 갈등을 빚었고 포퓰리즘 논란으로 비화되기도 했다.
■ 재난지원금·예방접종·방역패스·실내 마스크 착용 권고 이어진 방역 정책들
경기도에 이어 정부도 2020년 5월 첫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에 나섰다. 2020년 11월엔 마스크 미착용에 과태료를 부과하는 마스크 착용 의무가 부여됐고,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한 백신 예방접종이 2021년 2월에 시작됐고 곧 이어 5월 전국민 대상 예방접종으로 이어졌다.
백신 예방접종 완료자만 시설 출입을 허용하고, 동선을 추적하는 방역패스는 2022년 3월 해제됐다. 이어 올해 1월 실내 마스크 착용 권고로 야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며 사실상 엔데믹에 접어들었다는 관측이 나왔다. 이어 정부가 확진자 7일 격리 의무를 없애고 권고로 전환하면서 실제 엔데믹 선언에 이른 것이다.
■ 현장은 여전히 긴장 속…'해제'보다 '권고'에 방점
코로나19 방역의 중심은 지역의료체계였다. 코로나19 검사부터 확진자 동선 추적, 격리자에 대한 의료활동까지 전반에 걸친 의료활동을 담당한 지역 의료계는 엔데믹을 환영하기 이르다는 분위기다.
김범수 수원시장안구보건소 감염병대응팀장은 "엔데믹이라고 하지만 확진자 격리 의무 해제에서 보듯, '의무'가 '권고'로 바뀌었다는데 집중해야 한다. 권고란 것은 격리를 하면 좋다는 뜻으로 여전히 조심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모든 게 끝났다고 생각하기에는 조심스러운 부분이 많다. 엔데믹과 상관없이 지역에선 지역의 몫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