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5일 출범하는 재외동포청이 재외동포 전담 기관이라는 상징성을 넘어서 지역사회 상호 연계성을 확대하는 방안을 찾는 게 인천시 과제가 될 전망이다. 국가기관이 인천이라는 장소에 자리를 잡은 데 그치지 않고 인천이 가진 자산을 활용해 끊임없이 상호 교류의 접점을 찾아야 한다는 의미다.
재외동포청은 재외 한인을 위한 국가사무를 전담한다는 점에서 자치사무를 맡는 인천시가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인천시가 재외동포청 유치에 쏟았던 행정력만큼, 재외동포청과의 교류에도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인천시가 큰 공을 들여 송도국제도시에 유치한 녹색기후기금(GCF·2013년 설립) 사무국의 경우 지역사회와의 연결고리가 미비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GCF 유치로 인천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진 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인데 '녹색도시 구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 등 애초 기대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때문에 국제기구를 인천에 많이 유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역사회와 교류할 수 있는 사업이나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문이 인천시의회 등에서 제기됐었다.
해외 인재 육성·마이스 행사…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에 도움
정착지원 경험 市 웰컴센터 검토
유치 이후 지역사회의 관심이 식는 것도 문제다. 대표적인 예가 인천에 둥지를 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기관인 극지연구소다. 부산에선 인천에 있는 극지연구소를 부산으로 가져와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지만 인천은 사실상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인천국제공항은 인천경제자유구역(송도·청라·영종국제도시) 지정, 공항철도 등 각종 인프라 구축, 재외동포청 유치 등 인천 발전에 큰 도움이 됐다. 하지만 일자리 창출 등 막대한 파급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항경제권' 조성사업은 이제 시작단계다.
인천시가 재외동포청 유치 성공을 계기로 추진할 수 있는 사업은 충분하다. 인천이 우리나라 이민사의 출발지였다는 상징적 의미의 '소프트웨어'는 물론 외국인 투자유치가 활성화한 인천경제자유구역, 대한민국 관문인 인천공항, 수출기지인 인천항 등 '하드웨어'가 구축돼 있기 때문이다.
재외동포 투자유치, 마이스(MICE) 행사 개최, 해외 인재 육성 등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여건을 충분히 갖춘 셈이다. 이는 재외동포청이 지역에 안착하고 인천시가 추진하려는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 역할을 공고히 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프트웨어와 관련해선, 인천에 있는 이민사 연구·조사기관들과 재외동포청 간 교류협력이 확대돼야 한다. 인천에는 한국이민사박물관과 이주·재외동포를 연구하는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가 있다.
한국이민사박물관은 한인 이민사 자료 연구·수집·조사, 아카이브(기록화) 자료 공유, 수집 자료 보존·전시 등을 진행하고 있는데, 그동안 재외동포재단과 간담회나 전시회 등을 통해 협력해 왔다. 이미 구축한 협력 관계를 지속하고, 다른 연구기관과도 함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인천시가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인천시는 재외동포들에게 관광·비즈니스·의료·교육 등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외동포 웰컴센터' 설립을 검토하고 있으며, 인천과 근접한 서울대 시흥캠퍼스에는 '재외동포교육문화센터'(가칭)가 설립될 예정이다. 인천은 고려인, 사할린 동포, 중국 동포들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한 경험도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재외동포청이 지역사회와 활발하게 교류를 이어나가도록 하겠다"며 "재외동포를 지원하기 위한 조례를 제정해 근거를 마련하고 필요한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3면("교통·인구·문화 등 인프라 확충… '편의성 확보' 고민해야")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