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적으로는 고물가 시대 대학생들이 저렴한 아침밥을 먹도록 해준 정치권이 오랜만에 정책 경쟁을 벌인 듯 보이지만, 속을 뜯어보면 아쉬움이 남는다. 천원의 아침밥을 위해 이른 아침 등교할 통학생은 얼마나 될 것이며 대학생들과 다를 바 없이 취업준비생, 고졸 취업생들도 식비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비단 천원의 아침밥 정책만 그럴까. 정부, 지자체, 정치권 등이 내놓은 정책 중 '사각지대'를 살피지 않는 정책은 수두룩하다. 학교 밖 청소년,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청년 등 '소수 집단'은 정치권 관심 밖이다. 대학생 식비, 학자금 부담 등을 낮추자는데, 고졸 취업생 저임금 문제 등에는 소극적이다. 2020년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각 정당이 내놓은 청소년 공약만 봐도 68% 가량이 학교·대학입시 정책 틀 안에 있었다.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고등학교 졸업생 비율이 27%(2022), 고3을 제외한 청소년들은 투표권이 없으니 경주마처럼 '표'만 바라보며 달리는 정치권, 소위 엘리트 계층에 속해 살다 금배지를 단 이들이 소수 집단을 얼마나 대변할 수 있을지 싶긴 하다. 천원의 아침밥처럼 한낱 이슈에 편승해 인기몰이에 급급한 것이 우리의 권리를 대리하는 정치권의 민낯인 셈이다.
약 1년 뒤 국회의원을 다시 뽑는다. 서로를 비난하며 갈등으로 살 찌우는, '나의 편'만 잘 살면 된다는 정치권의 행태를 막으려면 결국, 제대로 된 표를 행사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대학, 학교에 다니지 않더라도 모두가 잘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말이다.
/신현정 정치부 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