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상륙작전은 한국전쟁의 전세를 단숨에 뒤집은 작전으로 평가받는다. 1950년 9월 15일 인천의 북서쪽 해안(레드비치)과 남서쪽 해안(블루비치), 월미도 해안(그린비치)에 일제히 상륙한 미 해병 등은 부평삼거리 일대 북한군 소탕작전을 진행한 한국군과 함께 9월 28일 서울 수복에 성공했다. 항만(인천항)과 공항(김포비행장)에 철도(경인선)까지, 수도 서울과 가까운 인천은 전쟁의 요충지였다. 인천상륙작전은 2차 세계대전의 전세를 역전시킨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비견된다.

인천시는 지난 연말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국가적 국제행사로 확대하고 관련 인프라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구체화했다. 올해부터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의 규모를 늘리고, 중장기적으로 참전국 정상들이 참석하는 국제행사로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지역 시민사회도 화답했다. '제73주년 인천상륙작전 기념 (평화기원) 행사 범시민 추진협의회'가 최근 출범했다. 범시민 추진협의회는 상륙작전 기념행사를 국제행사로 키우는 것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천명했다. 출범식에는 유정복 인천시장과 박종혁 인천시의회 제2 부의장, 범시민 추진협의회 위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공동대표는 유 시장과 황우여 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김인식 전 해병대 사령관·단국대 석좌교수가 맡는다.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는 그동안 참전용사와 유가족 등을 초청해 비교적 작은 규모로 열렸다. 인천시가 벤치마킹하는 노르망디상륙작전 기념식은 매년 20여개국 정상이 현장을 찾아 작전의 의미를 기리고 있다. 인천시는 오는 9월 13일부터 19일까지를 인천상륙작전 기념주간으로 정하고 인천항크루즈부두·상상플랫폼·월미도 등에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다. 이 기간에는 평화축제, 음악회, 그림 그리기 대회 등 시민 참여 행사도 진행될 예정이다.

명이 있으면 암도 있다. 월미도 민간인 피해자들의 입장을 고려해야 한다. 인천상륙작전 당시 인천시가지의 랜드마크는 대부분 파괴되고, 민간인 사상자도 컸다. 월미도 원주민 100여명이 희생됐으며, 살아남은 이들도 집과 고향을 잃은 실향민 신세가 됐다. 또한,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한반도의 정세도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분쟁의 바다'로 불리는 인천 해역을 '평화의 바다'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