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가스요금 상승에 시름이 큰 경기도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은 전기요금이 차등 적용될 가능성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 전력 자립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전기요금이 높게 책정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 속, 거듭된 요금 인상에 차등 적용까지 더해져 부담이 배가 될까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1분기 전기, 가스 및 기타 연료 물가지수는 135.49(2020년=100)로, 전년 동기 대비 30.5% 올랐다.

이는 외환위기 당시였던 1998년 1분기(41.2%) 이후 가장 상승률이 높은 것이다. 이 중 전기요금의 물가지수가 136.48로, 1년 전보다 29.5% 올랐다.

1975년 통계 작성 이래 상승률이 가장 높은 것이다. 


중기·소상공인, 적용여부 예의주시
"냉방비 폭탄 우려" 물가 더 오를듯

최근 2분기 전기요금도 인상된 만큼 전기요금 관련 물가지수는 더 오를 것으로 보인다. 전력 사용이 많은 중소기업계와 영업 시 냉방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소상공인들의 걱정이 큰 이유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은 전기요금 차등 적용 여부에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가뜩이나 '냉방비 폭탄' 등이 우려되는 상황 속, 경기도만 상대적으로 더 많은 요금을 부과하게 되지 않을지 노심초사하는 것이다.

도내 중소기업계에선 신중론을 유지하면서도, 비용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내비치고 있다.

여름철을 앞두고 지역별 차등 요금제 적용 문제까지 맞닥뜨린 도내 소상공인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이상백 경기도소상공인연합회장은 "현재 전국 모든 소상공인들이 공공요금 인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 차원에서 지원을 해주진 못할망정 경기도 등의 전기요금을 더 올리겠다는 이런 법안은 이해할 수가 없다. 경기도·서울시에 우리나라 인구 절반이 살고 있는데 차등 요금 적용은 결국 전기요금을 올리겠다는 꼼수"라며 "전력 생산 지역의 주민들을 지원하는 문제를 전기요금과 연관지어선 안 된다"고 밝혔다.

/강기정·서승택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