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킹·초등생 추행·인허가 비리 연루까지 경기도 공무원 비위(5월24일자 1면 보도=경기도청 간부, 이번엔 인허가 비리?… 오토바이·임대아파트 뇌물 혐의 구속)가 잇따르자 경기도가 뒤늦게 대책을 내놓았다.

24일 경기도는 비위공직자를 '원 스트라이크 아웃'시키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조사·징계도 7일 이내에 신속하게 완료하고 최고 수위 징계를 내린다는 방침도 내놓았다.

이날 오병권 행정1부지사 주재로 '공직기강 확립 점검 회의'를 연 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의 공직기강 확립대책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런 조치는 최근 경기도청 공무원의 일탈이 잇따른데 따른 것이다. 지난 23일 검찰은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뇌물) 혐의를 받는 경기도 소속 기술직 지방서기관(4급) A씨를 구속 기소했다고 밝혔다. A씨는 인허가 혜택을 대가로 임대주택 시행사로부터 고급 오토바이와 임대아파트 1채 등의 뇌물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경기도, 공직기강 확립 점검회의
'원스트라이크 아웃' 무관용 원칙
조사·징계 7일내 최고 수위 징계


경기도청 공무원의 비위는 이 뿐만이 아니다. 앞서 지난 19일 경기도청 소속 사무관(5급)인 30대 A씨가 초등학생들을 추행하다 화성시 자택 인근에서 경찰에 체포됐고, 지난달에도 도청 소속 50대 9급 공무원이 여성봉사자를 스토킹하고 2차 가해를 저질러 논란이 일었다.

지난해 말엔 비서실 소속 별정직 공무원이 동료를 상대로 불법촬영을 시도해 붙잡혔다. 이런 상황이 잇따르자 경기여성네트워크 등 지역 시민단체가 관계 공무원들의 일벌백계를 요구하는 등 시민사회에서도 거센 반발이 터져 나왔다.

전국 최대 규모 지자체 특성상 관계 공무원이 많을 수밖에 없지만, 최근 벌어진 범죄는 질과 양에서 모두 이례적이라는 평이다. 특히 올 초 경기도지사가 직접 "공직자 비위가 도 공직 사회 전체를 불명예스럽게 한다"며 공직 기강 확립을 당부하고 나섰는데도 비위가 연속해 벌어지며 공직 기강이 땅에 떨어졌다는 자조 섞인 평가가 나왔다.

이에 대해 이날 오병권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공직기강이 확립되지 않으면 부패 없는 청렴한 공직문화가 정착될 수 없고 도정에 대한 신뢰가 이뤄지지 않아 어떤 정책을 추진해도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면서 "비위행위에 대해서는 최우선적으로 신속 조사하고 강력히 조치하는 등 도민에게 신뢰받는 행정을 위해 계속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