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네이버가 뉴스 편집판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 것을 두고 언론계는 물론 정치권의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일 국민의힘 포털위원회는 "네이버의 새로운 뉴스 정책에 대한 언론계의 우려가 높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국힘 포털위원회는 "네이버 뉴스가 최근 모바일에서 편집판 하단 영역에 추가 기사가 노출되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 언론사의 '클릭장사'를 격화시키고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제목 경쟁을 격화할 것이란 우려가 언론인단체에서 나왔다"며 "(이같은 정책이) 네이버가 가짜뉴스의 온상이라는 비난이 거세질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네이버가 새롭게 추가한 뉴스편집판의 기능은 언론사가 편집하는 주요 뉴스판에서 1개 이상의 기사를 클릭한 사용자에 한해, 화면 하단에 해당 언론사의 기사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주요뉴스를 보여주는 편집판에서 기사 하나를 클릭한 후 다시 편집판으로 돌아가면 새 기사 3개가 추가로 노출되는 구조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에게 주요 뉴스를 더 많이 보여줄 수 있어 기사 클릭 경쟁이 심화되고,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기사나 제목으로 언론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다. 어뷰징, 이른바 낚시성 기사가 더욱 늘어나 포털뉴스의 황색저널리즘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란 비판도 커지고 있다.

이때문에 앞서 지난달 31일 대한민국언론인총연합회는 성명을 내고 "다시 한번 네이버에 경고한다. 자중하라. 지금은 뉴스 장사가 아니라 뉴스 공정성에 관해 이야기 할 때다"라고 엄중히 경고하기도 했다.

국힘 포털위원회도 "네이버의 새로운 모바일 뉴스 정책은 더 많은 클릭 유도와 광고수익을 위한 것"이라며 "네이버의 정책은 결국 언론사를 사실 확인, 검증, 깊이 있는 분석 보다 자극성·선정성·속도를 우선시하게 만들 수 있다"는 언론계의 우려에 공감했다. 그러면서 "네이버의 포털뉴스 점유율은 67%에 달한다"며 "사회적 책임감을 가지고 클릭장사 보다 언론이 가야 할 올바른 방향제시와 공정성, 신뢰성 증진에 더 힘을 쏟아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의종·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