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0장애인차별철폐 인천공동투쟁단,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은 5일 인천 부평구 부평역 8-1 승강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시가 정한 저상버스의 예외 노선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백효은기자 100@kyeongin.com
인천의 장애인들이 인천시가 정한 저상버스의 예외 노선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420장애인차별철폐 인천공동투쟁단,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은 5일 인천 부평구 부평역 8-1 승강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요구했다. 420장애인차별철폐 인천공동투쟁단은 장애인 권익향상을 위해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 등이 결성한 단체다.
장종인 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사무국장은 "올해 1월부터 버스 노선 대폐차 시 저상버스 도입이 의무화되면서 인천시는 올해 175대 저상버스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했지만, 일방적으로 버스회사의 신청을 받아 전체 시내버스 노선 210개 중 92개 노선(전체의 44%)을 저상버스 도입 예외 노선으로 선정했다"며 "인천시는 장애인, 노인 등 교통약자 단체와 예외 노선 선정 재논의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저상버스 예외노선을 정할 땐 관련법에 따라 노선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대안과 개선 방안을 언제까지 만들 것인지 정하는 계획을 수립해야 하지만, 인천시는 92개 노선, 880대가 넘는 노선을 제외해두고 아무런 대안도 내놓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420장애인차별철폐 인천공동투쟁단,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은 5일 인천 부평구 부평역 8-1 승강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시가 정한 저상버스의 예외 노선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날 부평역에서 모인 장애인들은 기자회견을 마치고 지하철을 타고 인천시청역까지 이동한 뒤 인천시청 앞에서 다시 한 번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촉구했다./백효은기자 100@kyeongin.com
이날 부평역에서 모인 장애인들은 기자회견을 마치고 지하철을 타고 인천시청역까지 이동한 뒤 인천시청 앞에서 다시 한 번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촉구했다. 인천시청 앞에 오후 3시까지 모이기로 예정했던 일정은 장애인들이 인천시청역에 있는 엘리베이터 1대를 이용하면서 30분 정도 늦어지기도 했다.
서권일 민들레장애인자립생활센터 인권활동가는 "얼마 전 저상버스 직접 타보려고 했지만, 슬로프가 고장이 나 결국 버스를 타지 못했다. 그때 버스 승객들의 따가운 시선이 느껴졌다"고 토로했다. 이어 "장애인도 대중교통을 자유롭게 이용해야 교육을 받을 수 있고, 일하러 갈 수도 있다. 인천시는 장애인 이동권 예산을 반드시 확보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420장애인차별철폐 인천공동투쟁단,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은 5일 인천 부평구 부평역 8-1 승강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시가 정한 저상버스의 예외 노선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백효은기자 100@kyeongin.com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420장애인철폐연대 인천공동투쟁단은 ▲장애인 콜택시 수도권 광역이동 지원 ▲발달장애인 바우처 택시 이용 확대 ▲인천시장애인버스 확보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