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5호선 검단·김포연장 노선을 어떻게 정할지에 대한 관계기관 협의가 본격화된다.

6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와 인천시, 인천 서구, 경기도, 경기 김포시 등은 이달 중 서울지하철 5호선 검단·김포 연장사업 추진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한 협약을 맺는다.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연장 노선을 확정하자는 취지가 크다. 대광위와 지자체들은 현재 협약서 세부 내용에 대해 막바지 조율 단계에 있다.

협약서에는 일정 기간 동안 인천시와 김포시 등이 연장 노선을 확정하지 못하면 대광위 중재안에 따른다는 내용도 함께 담길 전망이다.

서울 5호선 검단·김포 연장사업은 그동안 지자체 간 입장 차이로 속도를 내지 못했다. 첫 번째 걸림돌은 서울 강서구 방화동에 있는 방화차량기지와 건설폐기물처리장(건폐장) 이전 문제였다. 방화차량기지·건폐장 이전은 서울 5호선 검단·김포 연장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서울시가 내건 전제조건이다. 


건폐장 서구 영향권 바깥 이전
검단 통과구간 김포시와 입장차
인천시, 최적노선 찾기 용역 진행


2023052101000839900039681.jpg
인천시 서구가 21일 경기 김포시와 서울지하철 5호선 김포·검단 연장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협약식서 기념 촬영하는 강범석 서구청장(왼쪽부터),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김병수 김포시장. 2023.5.21 /연합뉴스


서울시와 김포시가 지난해 11월 방화차량기지·건폐장을 김포지역으로 이전하기로 협약을 맺었지만, 인천시 등의 반발이 있었다. 인천 서구지역이 향후 이전될 건폐장 영향권에 들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이와 관련, 지난달 인천 서구와 김포시가 서구 영향권 바깥으로 건폐장을 이전하기로 약속하면서 이 문제는 일단락이 됐다.

남은 문제는 '연장 노선'이다. 인천시는 시민 이용 편의 등을 위해 5호선 연장 노선이 서구 검단 지역을 최대한 많이 통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김포시는 검단을 지나는 구간이 많을수록 총 사업비 부담이 늘어나는 점 등을 들며 가급적 검단지역을 적게 지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천시는 자체적으로 서울 5호선 연장사업의 최적 노선을 찾기 위한 용역을 진행 중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철도를 놓을 수 있는 구간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몇 개의 노선 구상은 어느 정도 있다. 그 구상들 중 우리 시민이 많이 이용할 수 있으면서 경제성이 높은 노선이 뭔지를 용역에서 검토하고 있다"며 "향후 협상 과정에서 우리 시의 의견이 많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