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마을버스들이 지난달부터 차량 외부에 '환승제도 개선'과 '버스요금 인상'이란 현수막을 걸고 노선을 돌고 있다. 업체 관계자들은 "이대로 죽을 수 없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생존 투쟁에 나섰다"고 한목소리다. 마을버스 업계는 코로나 이후 구인난에 물가 급등으로 적자 폭이 커지고 있다며 해당 지자체와 경기도에 대책을 호소하고 있다. 시내버스나 광역버스와 달리 환승할인 손실 보전 혜택이 적고, 보조금도 받지 못하고 있다며 요금인상과 지원 확대 등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경기도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에 따르면 대부분 업체가 만성적인 적자에 허덕이면서 노선을 줄이거나 아예 폐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여기에 인건비와 물가 폭등에도 불구, 4년 넘도록 대중교통 요금이 인상되지 않아 고사 직전에 내몰린 상황이다. 실제 도내 마을버스 종사자는 2019년 5천226명에서 지난해 4천298명, 올해 4천299명으로 코로나 전보다 1천명 가까이 감소했다. 지난달 기준 전체 2천911대의 차량 가운데 운행 차량은 2천105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도시 구석구석을 누비며 미세 혈관 역할을 하는 마을버스의 3분의 1 정도가 발이 묶이면서 서민 불편이 커지고 있다.

마을버스 업계는 요금 인상과 준공영제 도입 등 지원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과 인천은 버스요금을 인상할 예정이나 경기도는 동결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서울시의 대중교통요금 인상이 실현될 경우 수익 배분 원칙에 따라 도내 마을버스 업체들의 불이익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서울시가 마을버스 적자 노선에 대해 보조금을 지원하는 것과 달리 경기도는 기초 지자체에 마을버스 지원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 업계는 시내버스와 광역버스처럼 준공영제 형태로 마을버스를 지원해야 집단 폐업을 막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마을버스는 서민들의 발 역할을 하는 필수 공공재이다. 업체들이 경영난으로 노선과 운행 횟수를 줄이면 서민들만 불편해진다. 상대적으로 영세한 마을버스 업체들이 만성 적자에 인력난, 승객 감소라는 3중고에 시달리면서 집단 고사 위기에 놓였다. 상황이 나아질 기미가 없자 집단행동에 나섰다. 지자체들의 적극적인 지원과 줄도산을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480억원의 예산으로 마을버스의 적자를 보전해줬다. 경기도가 마을버스를 직접 지원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