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진 위험도 평가를 정기적으로 실시해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정책 제언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이 15일 발간한 이슈브리프 '인천시 지진 대응 이슈 및 정책 방향' 보고서를 보면, 인천에서는 지난 10년(2014~2023년)간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총 37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심각한 인명·재산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지난 1월 인천 강화군 서쪽 25㎞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3.7 지진의 경우 발생 지점이 내륙과 비교적 가깝다는 게 인천연구원 연구진 설명이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인천의 경우 향후 도시 과밀화·산업화·노후화에 따른 복합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우리나라는 해저 지진이 동해보다 서해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인천은 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송도·청라·영종 등 해안을 매립해 조성된 신도시가 많다.

연구를 주도한 조성윤 인천연구원 안전도시연구센터장은 "인천의 지진 위험성은 포항·부산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지진은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인천은 노후화된 시설이나 건물이 많아 자체적으로 안전성을 진단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인천시가 지진 시나리오별 대응전략을 마련해 어떤 상황에서도 체계적인 대응과 신속한 복구가 이뤄질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성윤 센터장은 "국내의 지진방재 정책은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중앙정부가 지질조사를 하거나 전국 지도를 만드는 등의 역할을 한다"면서도 "정부의 방재 정책은 한계가 있으므로, 인천시가 자체적으로 지진 관련 지역별 세부 대피 계획을 수립하는 등 준비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지역별 인구수와 접근성을 고려해 옥외대피소·실내 구호소를 확충해야 한다고 봤다. 또 인천시가 자체적으로 지진 위험도 평가를 정기적으로 실시해 도시 내 지진 취약요인을 발굴하고, 소방·의료·경찰 인력 동원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조성윤 센터장은 "올해 초 발생했던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을 계기로 인천시 차원에서의 지진 대피·대응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