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산-사회교육부기자.jpg
김산 사회부 기자
미래의 상징으로 칭송할 때는 언제고 '코인'(가상자산)에 주홍글씨가 제대로 찍혔다. 국회의원 코인 투자 논란을 발단으로 코인 소유 자체가 잘못이라는 양 전수조사가 추진되고, 자녀가 코인회사 직원이라는 사실 자체로 부적절하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이들은 지난해 가상자산 과세 유예 법안을 두고 보기 드문 여야 극적 합의를 이룬 당사자들이다. 이 시간에도 천문학적 거래가 오고 가고 있는, 이미 다음 세대 삶의 일부가 되어버린 사안을 두고 보완이 아닌 '척결'을 외치며 정쟁을 이어가는 모양새다.

사회적으로 악마화되는 우리 미래의 일부를 보며 문득 국내 거주 외국인들의 처지를 떠올렸다. 외국인 딱지를 달고 알려지는 형사사건들로 잠재적 범죄자 취급당하고, 불법체류 신분으로 일자리 빼앗는 사람들이란 인식이다. 정작 범죄율과 고용률 지표 실상도 다르거니와 일부 산업현장에서는 극심한 인력난으로 오히려 외국인에 의지하다시피 운영되고 있다. 특히 생계 사정으로 입국해 신분상 어려움을 겪는 약자가 대다수인데도 그런 모습을 알리는 기사엔 여전히 혐오로 점철된 댓글만 돌아올 뿐이다.

사뭇 이질적인 두 단어를 달리 보면 '기회'라는 공통분모도 가능하다. 거래량으로 세계 3위 수준으로 평가받는 국내 코인 시장은 적절한 지침이 마련된다면 강한 국제 경쟁력으로 변모할 기회가 충분히 있다. 마찬가지로 해마다 늘어나는 외국인 인구는 국가 성장 발목을 잡는 초저출생 문제를 해결할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이미 인구정책의 주요 방점으로 외국인 정책이 추진되면서 다양한 대안이 제기되고 있다.

그런 관점에서 국내 외국인 셋 중 한 명이 거주하는 경기도는 기회의 최전선에 있는 지자체다. 일부 자치구는 이미 외국인 주민 비율이 내국인을 앞지른 지 한참 지났다. 한글보다 3개 국어 이상 표기된 간판들이 무성할 정도다. 이들이 무난히 자리 잡도록 지역사회가 아래서부터 차근차근 기반을 만드는 모범 사례를 경기도가 보였으면 한다. 하물며 외국인은 가상도 자산도 아닌 같은 땅을 딛는 사람이자 어엿한 우리 이웃이지 않은가.

/김산 사회부 기자 mountai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