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2년까지 인천·경기경제자유구역을 포함한 전국 9개 경제자유구역에서 투자 유치 100조원을 달성하고 45만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와 함께 인천 영종국제도시 개발계획을 변경해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한 MRO(항공기 정비) 단지 조성에도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서울에서 제135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안건을 처리했다고 밝혔다. 


산업부 '기본계획 초안' 공개… 지역 맞춤형 산업 유치 등 4대 비전 전략
'첨단항공단지' 영종도 개발 변경안 승인… 美·이스라엘 시설 입주 계획


산업부는 이날 회의에서 앞으로 10년간 경제자유구역의 발전 전략이라 할 수 있는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 초안'(2023~2032년)을 공개했다.

정부는 경제자유구역 비전을 '지역 발전과 함께하는 글로벌 첨단 비즈니스 거점 완성'으로 정해 국내외 투자 100조원을 달성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 45만개를 창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비전 실현을 위한 4대 전략으로 ▲중앙 권한의 지방 이양을 통한 민간·지역 중심 개발 촉진 ▲지역에 맞는 국내외 핵심 전략산업 유치 확대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국제도시 조성 ▲경제자유구역청의 역할 확대와 타 특구와의 협력 강화 등을 제시했다.

이날 열린 경제자유구역위원회에서는 인천국제공항 MRO 산업 발전을 위한 영종국제도시 개발계획 변경안이 승인됐다.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인천경제청 등은 영종국제도시 1천720만5천477㎡에 첨단복합항공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첨단복합항공단지에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 기술을 보유한 이스라엘항공우주산업(IAI)의 화물기 개조 생산기지가 구축될 예정이며, 미국 아틀라스에어월드와이드홀딩스(AAWW)의 항공기 정비 시설도 들어설 계획이다.

경제자유구역위원회는 영종국제도시에 추진되고 있는 '용유 오션뷰', '무의LK' 리조트 조성사업을 위한 개발계획 변경안도 처리했다. 이들 리조트는 주위 자연경관을 최대한 보전하기 위해 건물 층수를 낮추거나 개발 면적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방침이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