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국토교통부의 인천 검단신도시 '자이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사고 원인조사발표 이후에도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전국의 공동주택 건설현장에서 기본이 지켜지지 않은 대형사고가 잇따르면서 입주예정자들의 목소리가 점차 커지는 것이다.

사고 당시 조사에서 붕괴한 지하주차장을 떠받치는 전체 기둥의 60%에 철근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콘크리트 강도가 설계기준보다 30% 낮았다는 점도 확인되었다. 공사를 발주한 LH는 물론 감리까지 총체적 부실이 드러났다. GS건설은 사고가 난 아파트 단지 전체에 대한 전면 재시공을 한다며 여론을 환기했다. 재시공 계획단지는 총 17개 동, 1천666가구에 달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전문가들의 평가는 박하다. 35년째 건설현장에서 일한다는 한 노동자는 "우리나라 아파트 현장이 아무리 문제가 많다 해도 기초 지반에 속하는 지하주차장이 무너져 내린 경우는 처음 봤다"고 했다. GS건설이 아무리 계산기를 두드려 봐도 전면 재시공 밖에 답이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오랫동안 건설현장에서 잔뼈가 굵은 건설근로자들은 대체로 '무너졌느냐', '안 무너졌느냐'만 다를 뿐 여타 현장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아파트가 어떻게 지어지든 단가 맞추는 데만 급급한 불법 하도급 구조가 사태의 근본원인이다. 공사장에선 철근을 빼돌려 이익을 남기는 게 관행이라며 감리사와 짬짜미해서 이익을 편취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고 한다. 2년 전부터 철근값이 공공행진하면서 이런 빼돌리기가 더 심해졌다.

입주 예정자들의 안전을 외면한 범죄가 근절되지 않는 한 제2, 제3의 검단 자이 아파트사태는 언제든 재연될 수 있다. 국토부는 8월 중에 GS건설의 전국 83개 공사장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부실시공에 대한 행정처분도 내릴 예정이다. 서울시는 지난 10일부터 시내 대형 아파트 공사장에 대해 긴급점검 중이며 경기도 또한 최근 아파트 사고원인을 토대로 한 정기점검계획을 밝혔다.

여타 지자체에서도 유사한 움직임들이 감지되나 감독이 소홀할 수밖에 없는 소규모 공동주택 건설현장은 어찌하나. 이미 완공된 아파트 입주민들은 더 불안하지만 집값 하락 우려 탓에 '벙어리 냉가슴'이다. 한반도는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 정부가 불량주택 추방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