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2001000843900042031.jpg
경기복지재단이 발간한 복지이슈 포커스 제12호/경기복지재단 제공

경기복지재단이 '인구의 날'을 맞이해 경기도 인구변화 영향을 분석하며 대응방안 마련에 나섰다.

복지재단은 20일 도 인구변화 영향과 대응방안에 대한 고민을 담은 복지이슈 포커스 제12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한국은 2020년 '인구 데드크로스(Dead Cross)' 현상이 발생하며 인구의 자연 감소가 시작되고 있음에도 경기도 전체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도는 타 광역자치단체보다 상대적으로 늦게 고령화 단계에 진입했지만, 도 외곽(C벨트)을 중심의 6개 지역에서 '인구소멸위험지역'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도 시군의 고령인구 비율과 생산가능연령 비율로 경기도 31개 시군의 인구 구조 특성을 분석한 결과, 먼저 고령인구 비율과 생산가능인구 비율이 모두 높은 '복합형'은 고양시, 구리시, 군포시, 부천시, 성남시, 안양시가 해당된다. 고령인구 비율은 낮고 생산가능인구가 높은 '성장형'은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오산시, 평택시, 화성시가, 고령인구 비율과 생산가능인구 비율이 모두 낮은 '정체형'은 과천시, 김포시, 하남시, 용인시가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고령인구는 높으나 생산가능인구 비율은 낮아 인구소멸지수도 높은 '위기형'은 대부분 농촌형과 도농복합형 지역인 가평군, 연천군, 양평군 등 15개 지역이 해당된다.

경기도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경기도 인구소멸지역에 대한 적극적 대응방안 강구', '시군별 인구구조 특성에 따라 차등적인 복지정책 방향 검토', '인구예측의 불확실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이 필요함을 보고서는 제안하고 있다.

원미정 대표이사는 "복지는 인구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고령화라는 메가트렌드가 복지서비스의 방향을 결정한다. 재단은 인구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위한 복지전략 수립을 경기도와 함께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