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동물 보호소에서 고양이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감염돼 집단 폐사하는 사례가 이어지는 가운데 감염이 발생한 보호소들 모두 최근 경기지역 불법 번식장에서 고양이를 구조해온 뒤 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돼 확산세가 우려된다.
더구나 관할당국의 초기 일제검사가 환경이 열악한 동물 번식장이 아닌 보호소를 초점으로 진행되면서 부실 검사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 서울 동물보호시설 2곳에서 연달아 고양이 수십 마리가 AI에 감염돼 폐사하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전국적인 전염 우려가 퍼지고 있다.
지난달 25일 용산구 소재 동물 보호소에서 고양이 두 마리의 AI 감염이 확인되고 38마리가 폐사한데 이어, 29일 관악구에서도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 이에 보건당국은 방역 조치를 강화해 서울 전역의 감염 실태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감염이 발생한 서울지역 보호소 두 곳 모두 최근 남양주시 내 불법 동물 번식장에서 고양이를 구조해온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다.
수용공간 부족해 서울지역 보호소에도 넘겨… 2곳 연달아 집단폐사
전국 펫샵 유통돼 확산 우려… 보건당국 초기 부실검사 지적 잇따라
앞서 일부 동물단체들은 올해까지 지속적으로 남양주시 일대에서 불법적으로 품종묘와 품종견 등을 길러 온 번식장을 확인해 단속하고 구조해 왔는데, 이 구조활동에 참여한 단체 목록에 두 보호소도 이름을 올렸다.
이 때문에 경기지역 확산세에 대한 우려는 물론, 보호소뿐만 아니라 번식장에 대한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번식장은 보호소 환경보다 동물들이 밀집하고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는 데다 허가 없이 불법적으로 운영되는 곳도 많아 수사당국에 거듭 적발돼 온 실정이다. 나아가 번식장에서 길러진 동물들은 전국 '펫샵'으로 유통돼 확산세를 키울 가능성도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경기도를 비롯한 관할 당국의 초기 검사는 동물 보호소에만 그쳐 왔다.
도는 지난달 26일부터 오는 8일까지 도내 전체 동물보호소 65개소를 대상으로 일제검사를 해 왔다고 밝혔으나 검사 대상에 번식장은 포함하지 않았다. 경기지역 동물 번식장은 1일 기준 800여곳이 등록돼 있다. 마찬가지로 보호소를 중심으로 검사를 진행하던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달에서야 뒤늦게 전국 번식장을 대상에 포함해 실시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최초 감염 사례가 보호소에서 나타났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초기 검사를 진행했고, 역학조사 과정에서 번식장에 대한 우려점이 최근 확인돼 확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WHO는 전세계적으로 포유류가 AI에 감염된 사례가 급증한다며 인간 감염 가능성을 경고했다.
/김산기자 mountai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