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상치 않은 폭염과 부실 운영으로 조기 철수 사태를 맞은 '2023 세계잼버리대회'의 파행에 따른 책임 추궁이 뒤따를 전망이다.
대통령실은 주관 부처인 여성가족부에 대한 감찰에 착수하고, 국회도 조기 철수 사태에 따라 오는 16일 행정안전위원회를 시작으로 문화체육관광위, 여가위 등 해당 부처별로 현안 질의에 들어간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은 부실 준비와 관련, '1천억원대 예산 집행 전반에 대한 감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어 부실 운영에 따른 감사와 조사가 불가피해지는 모습이다.
대통령실, 여가부 감찰 내주 착수
국힘 "1천억원대 예산 전반 감사"
국회 행안위 시작 부처별 현안 질의
여야 서로 '떠넘기기 공방' 가능성
대통령실은 잼버리 사태의 책임론을 자초한 여성가족부 등에 대한 감찰을 검토하는 것으로 8일 알려졌다. 대통령실은 공직기강비서관실 등을 통해 여가부 등에 대한 감찰을 내주 중 착수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2일 잼버리 종료 후 사태 책임에 대한 국회 현안 질의가 예정된 만큼, 정부 차원에서 명확한 상황 점검이 뒤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감찰이 시작되면 전북 등 지자체에 대한 감찰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회는 16일 행안위를 시작으로 25일 문체위에서 관계부처를 상대로 전체회의를 열어 잼버리 대회 부실 운영과 조기 철수 사태에 대해 질의를 할 예정이다.
잼버리 파행에 일차적인 책임론이 일고 있는 여성가족부에 대한 현안질의가 주목된다.
다만 현재까지는 여가위 전체 회의 개최일은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민주당 정춘숙 원내정책수석부대표는 "여가위를 비롯해 여러 위원회에서 (잼버리 대회) 사후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문제점을 지적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여야는 잼버리 파행에 대한 책임론에 대해 현재 행사가 진행 중이지만 행사가 마무리되면 서로 책임 공방을 놓고 떠넘기기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부실 논란 책임과 관련, 윤석열 정부를 집중적으로 겨냥하는 야당 비판을 "정치 공세"로 규정하고 문재인 정부 5년 임기에 걸쳐 대회를 준비해 왔다는 점과 집행위원장과 조직위원회 구성원 대부분이 야권 인사라는 점 등을 염두에 두고 전 정부에 책임을 넘기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현 정부에서 잼버리 대회가 개최됐고, 행안부 장관은 관계부처 장관 3명이 공동조직위원장을 맡고 있는 만큼 현 정부 책임이 더 크다는 입장이다.
한편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폭염 대응 미비와 운영 미숙으로 비판받은 잼버리 대회에 대해 "원인 여하를 밝히고 하는 문제는 잼버리가 잘 끝나고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며 사후에 정부 차원의 조사나 감찰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다.
/정의종·오수진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