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1701000673300034033.jpg
경기도청 전경./경기도 제공

올해 여름철 강수량이 1년 전과 비교해 약 157% 급증하는 등 최근 이상기후 현상이 심화하자, 경기도가 재난대응체계를 대폭 개편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17일 '풍수해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여름철 풍수해 종합대책 3개 분야, 11개 과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큰 틀의 분야는 재난 상황 관리체계 개편, 인명피해 우려지역 관리 강화, 기후위기 대응 전략 사업 등이다.

개편 배경에는 과거 기상 데이터 기준으로 마련된 현행 재난대응체계로는 기후위기에 따른 이상기후 현상을 대비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실제 올해 6월26일부터 7월26일까지 도내 내린 강수량은 650.2mm로, 평년 강수량인 412.7mm 대비 약 157% 많았다. 올해 강수일수 대비 강수량도 31.7mm로, 역대 최장의 장마였던 2020년 26.2mm보다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발표한 대책을 보면, 먼저 경기도는 재난상황 관리체계를 즉시 개편한다.

현행 체계는 소관부서에서 시설별 사전점검을, 비상 시에는 재난안전대책본부 중심으로 이뤄졌는데 앞으로는 도로, 하천, 건설현장, 산림, 농업, 주택분야 등 분야별 재난안전대책본부와 실시간 재난정보를 공유하는 관련 부서 자체 상황실을 실무반으로 편성·운영한다.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재난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한다는 취지다.
2023081701000673300034031.jpg
재난상황실 근무 강화 방안./경기도 제공
재난안전안대책본부 운영체계를 강화한다.

비상 1단계 기준을 기존 11개 시·군 이상 호우주의보, 4~15개 시·군 호우경보에서 '7개 시·군 호우주의보 또는 3~6개 시·군 호우경보'로 변경한다. 또 경찰청 인력 지원을 비상 1단계부터 지원받아 통제·대피 등 현장대응을 강화하고 합동훈련도 진행한다. 시·군 간 편차 없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하도록 비상단계별 기준 및 인력 상황을 점검한 뒤, 적정 기준안을 만들어 전파할 계획이다.

아울러 '인명피해 우려지역 관리강화 특별조직(TF)'를 구성해 시·군 간 통일된 기준으로 해당 지역을 관리하도록 세부 지침을 만든다. 인명피해 우려지역은 시·군이 집중호우 시 사고 우려가 있는 지역, 시설을 특별히 지정·관리하는 곳이다. 다만, 지정 기준이 구체적이지 않아 시·군에서 소극적 또는 임의적으로 지역을 지정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는데 이를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역대 최장 장마보다 강수량 많아
11개 과제 풍수해 종합대책 수립
관리체계 개편·시군 통일 지침도

2023081701000673300034032.jpg
비상근무 기준 강화 방안./경기도 제공

끝으로 기후위기 대응 전략사업도 추진한다.

기존 중앙정부의 국비 지원 사업 중심이던 재난예방사업에서 벗어나, 경기도 재난관리기금을 활용한 재난예방사업에 나선다는 설명이다. 예컨대, 정보통신기술(ICT)로 수위계, 경사계 등 각종 센서와 연계해 위험 징후가 발생하면 즉각 대응하도록 조기경보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한다. 해당 시스템은 현재 급경사지 등 일부 지역에만 설치돼 있다.

오병권 행정1부지사는 "지속되는 기후 이상으로 앞으로 발생할 집중호우·태풍을 과거 기준으로 대응하기에는 문제가 있다"며 "비록 천재지변일지라도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난상황 관리체계를 강화하고 적극 대응한다면 도민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일상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