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추진 중인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위해 경기도가 지역별 특화산업 등 전략을 논의했다.
경기도와 포천시, 경기연구원은 22일 도청 북부청사에서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위한 실무회의를 열고 포천시의 특화산업 및 기업유치 전략 등을 살폈다.
기회발전특구는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정부가 추진 중인 지역균형발전 핵심정책 중 하나다. 정부는 기회발전특구 내 창업·이전 기업에 대해 지방세 감면 등 파격적인 혜택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22일 도청 북부청사서 실무회의 개최
포천시, 드론 방위산업 논의
인구감소지역 또는 접경지역 중 지방시대위원회가 지정하는 곳을 기회발전특구가 될 수 있는데 도내에는 김포시, 고양시, 파주시, 양주시, 포천시, 동두천시, 연천군, 가평군 등 8개 시·군이 해당된다.
이날 실무회의는 포천시 건의에 따라 마련됐으며 포천시는 도내 유일 드론특별자유화 구역인 점을 활용, 드론산업을 전략산업으로 계획하고 있다. 이에 따라 드론 방위산업 기회발전특구 조성의 강점, 기업 유치 계획 등을 논의했다.
한편, 경기도는 본격적인 제도 시행에 앞서 시·군 의견수렴을 위한 실무 착수 회의를 지난 7월 열었으며 기회발전특구 기획을 위한 사전 조사를 경기연구원-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추진 중이다.
사전 조사 대상 시·도는 지역 내 입지, 산업, 기업, 규제 등 특구 관련 필요한 현황 등에 대해 조사하고 전문가 자문을 받을 수 있다. 지방시대위원회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며 당초 비수도권만을 대상으로 기획됐으나 지방시대위원회 건의, 국회의원 면담 등을 통해 수도권도 대상이 됐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