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8월 경기도 내 화재 건수와 사망자, 부상자, 재산피해 등 화재 피해지표 4개 부문이 지난해 동기 대비 모두 줄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가 24일 화재 피해지표 4개 부문을 지난해 1월부터 8월6일까지와 올해 같은 기간을 비교한 결과, 도내 화재는 지난해 5천472건에서 올해 5천277건으로 195건(3.6%) 감소했다. 사망자는 49명에서 43명으로 6명(12.2%), 부상자는 377명에서 328명으로 49명(13%) 줄었다. 재산피해 역시 2천731억 원에서 1천912억 원으로 819억 원(30%) 감소했다.
화재 사망자 지표 감소, 경기도 포함 전국 3개 시·도뿐
경기소방, 종합대책 수립 등 성과 분석
소방청의 화재 피해 4개 지표가 모두 감소한 것은 경기도를 비롯해 대구와 제주 등 3개 시·도뿐이다.
경기소방은 이러한 감소를 두고 지난해 기존 대형화재의 문제점을 분석해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화재 예방부터 진압까지 지역 특성에 맞는 예방대책과 화재진압 전술을 자체 개발한 데 따른 성과라고 분석했다.
올해 경기소방은 업무계획을 발표하면서 앞으로 5년 이내 세계 톱(TOP) 5 수준으로 화재안전도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선진국이 주로 가입하고 있는 세계소방구조협회(CTIF)는 인구 10만명 당 화재 건수, 사망자 수, 부상자 수 등으로 안전도를 평가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화재안전도가 높은 국가는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등 대부분 서유럽 국가로 인구 10만명 당 화재에 따른 연간 사망자 수는 0.5명 이하 수준이다. 최근 3년 평균 경기도는 0.6명 수준으로 일본이나 미국에 비해 절반 정도로 낮지만, 아직 세계 최고 수준에는 약간 못 미치고 있다.
한편, 소방재난본부는 화재안전도 조기 달성을 위해 9월부터 겨울철을 대비한 '화재안전 100일 특별대책'을 추진한다. 소방서별로 3년간 연평균 대비 화재 피해 20% 저감을 목표로 매일 상황을 관리하고 화재 초기 단계부터 소방력을 집중적으로 투입해 신속한 인명 구조와 화재확산 차단에 주력한다.
또한, 취약지역 공설소화전 보강, 전통시장 공용 소화기함 설치 확대, 화재예방혁신 시범사업장 설치, 취약계층 기초 소방시설 보급, 외국인과 장애인, 노인 등 재난 약자 소방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경기소방, 종합대책 수립 등 성과 분석
소방청의 화재 피해 4개 지표가 모두 감소한 것은 경기도를 비롯해 대구와 제주 등 3개 시·도뿐이다.
경기소방은 이러한 감소를 두고 지난해 기존 대형화재의 문제점을 분석해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화재 예방부터 진압까지 지역 특성에 맞는 예방대책과 화재진압 전술을 자체 개발한 데 따른 성과라고 분석했다.
올해 경기소방은 업무계획을 발표하면서 앞으로 5년 이내 세계 톱(TOP) 5 수준으로 화재안전도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선진국이 주로 가입하고 있는 세계소방구조협회(CTIF)는 인구 10만명 당 화재 건수, 사망자 수, 부상자 수 등으로 안전도를 평가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화재안전도가 높은 국가는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등 대부분 서유럽 국가로 인구 10만명 당 화재에 따른 연간 사망자 수는 0.5명 이하 수준이다. 최근 3년 평균 경기도는 0.6명 수준으로 일본이나 미국에 비해 절반 정도로 낮지만, 아직 세계 최고 수준에는 약간 못 미치고 있다.
한편, 소방재난본부는 화재안전도 조기 달성을 위해 9월부터 겨울철을 대비한 '화재안전 100일 특별대책'을 추진한다. 소방서별로 3년간 연평균 대비 화재 피해 20% 저감을 목표로 매일 상황을 관리하고 화재 초기 단계부터 소방력을 집중적으로 투입해 신속한 인명 구조와 화재확산 차단에 주력한다.
또한, 취약지역 공설소화전 보강, 전통시장 공용 소화기함 설치 확대, 화재예방혁신 시범사업장 설치, 취약계층 기초 소방시설 보급, 외국인과 장애인, 노인 등 재난 약자 소방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