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트램은 슈퍼캐패시터+배터리, 울산트램은 수소?'3줄 요약- 긴 주행거리 '수소트램'과 다르게 '슈퍼캐패시터' 방식- 충전 빠르고 수명 길지만 전력공급설비 예산 부담 단점- 높은 수소 공급가 등 고려… '안정적인 운영기반' 선택
전국 지자체마다 열풍인 '트램' 도입이 본격화하면서, 각 지자체가 선택한 트램 운용 방식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초기 많은 비용을 투입한 뒤 영구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대중교통 수단인 만큼, 장기적 관점에서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울산시에서 국내 최초 수소트램 운영을 예고하면서 미래기술인 수소트램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는 가운데, 예상을 깨고 다른 방식을 택한 화성시의 동탄트램의 경우 안정적인 운영기반을 중시했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市, 수소 대신 무가선 '슈퍼캡' 선택
빠른 충전 긴 수명… 전력설비 부담
빠른 충전 긴 수명… 전력설비 부담
현재 전국 지자체 20여곳이 트램 도입을 논의하고 있다. 지난 4월 착공에 들어간 총연장 5.4㎞ 규모의 '위례선 트램'은 대용량 배터리 탑재 방식을, 이르면 내년 설계·시공에 착수할 '동탄트램'은 무가선 방식 중 슈퍼캐패시터(Super capacitor, 이하 슈퍼캡)와 배터리를 혼용하는 전력공급방식을 택했다.
반면 전국 광역시 중 유일하게 대중교통 수단이 없었던 울산시는 최근 '수소트램' 도입 관련 기획재정부의 사업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했다. 2026년 착공해 2029년 개통을 목표로 10.99㎞ 구간이다. 더욱이 이곳에 투입할 수소트램 개발을 위한 실증사업이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추진, 내달부터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 울산시뿐만 아니라, 대전시와 제주도에서도 수소트램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동탄트램이나 울산 수소트램 모두 무가선 방식인데, 전력공급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동탄트램은 트램이 정거장에 멈췄을 때 단시간 전력을 공급받아 운행하는 슈퍼캡 방식을, 울산은 수소연료전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을 택한 것이다.
울산시, 국내 최초 '수소트램' 추진
국내기술·친환경… 공급가격 변수
적자 예상·상용화 단계 '불확실성'
두 전력공급방식은 추후 트램을 염두에 둔 전국 지자체가 검토한 주요한 방식으로 꼽히고 있다.국내기술·친환경… 공급가격 변수
적자 예상·상용화 단계 '불확실성'
슈퍼캡 방식은 충전 속도도 빠르고 수명이 길지만, 전력공급설비 구축 등 예산 부담이 있다. 더욱이 국내 슈퍼캡 기술을 가진 업체가 트램 모델을 별도로 개발하기 전까지는 해외 기술에 의존해야 하는 게 한계다. 앞서 해외 기술 도입 이후 사후 관리 등에서 문제가 불거졌던 경전철 사례를 보면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수소트램의 경우 주행거리가 길어 추후 트램 연장에도 무리가 없고 친환경적이며 국내 업체가 기술을 보유한 데다 정부 차원에서 실증사업을 추진한다는 게 강점이다.
하지만 수소 버스 등을 도입했던 일부 지자체들이 높은 수소 공급 가격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간과하기는 어려운 현실이다. 실제 울산시는 수소트램을 도입한 뒤, 연간 100억원 안팎의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화성시도 동탄트램의 전력공급방식 결정 당시, 4가지 안을 두고 고민한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시에서 시범 운영할 수소트램도 검토 대상이었지만, 수소 가격이 안정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앞으로의 운영비를 시·군이 모두 부담해야 한다는 것과 친환경 소재이긴 하나 아직 상용화가 되지 않아 불확실성이 크다는 게 걸림돌이 됐다는 설명이다.
/김학석·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