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관에서 적발된 신종마약류의 규모가 최근 5년 사이에 무려 2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 소속 홍영표(민주당) 의원이 최근 공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MDMA', 'LSD', 'GHB', '러쉬' 등 관세청이 단속을 통해 압수한 신종마약류의 양이 2018년 11.6㎏에서 2022년 266.8㎏으로 23배 가량 폭증했다. 마약류 1회 투약량이 0.03g인 점으로 미뤄, 지난해에만 889만명이 투약할 수 있는 양이다. 세관에 적발되지 않은 신종마약류의 규모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신종마약류의 증가세에 발맞춰 전체 마약류에서 신종마약류가 차지하는 비율 또한 크게 높아졌다. 적발된 마약류 총량 가운데 신종마약류 점유율은 2018년 0.03%에 불과했지만 2022년에는 42.72%로 절반에 육박했다. 이는 국내 마약 시장의 판도가 필로폰 등 전통적인 마약류에서 신종마약류로 대체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더 심각한 것은 마약류 사범의 저연령화 현상이다. 대검찰청의 '2022년 마약류 범죄백서'를 보면 30대 이하 마약류 사범이 2018년 5천257명에서 2022년 1만988명으로 두배 이상 늘었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인터넷, SNS 등을 통해 쉽게 구할 수 있는 신종 마약이 증가한 것이 주원인으로 풀이된다.

젊은층 마약류 사범의 증가세는 마약 범죄에 대한 단속·관리에 허점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텔레그램이나 다크웹을 통한 판매, 가상화폐로 대금 지급, 던지기 수법 등 젊은층을 겨냥한 마약 유통 수법은 날로 진화하고 있지만 수사력과 수사기법은 이에 못미치고 있다. 최근 유명연예인의 구속영장 기각 사례에서 보듯 마약류 사범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도 문제다. '병원 쇼핑'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시술이나 마취를 빙자해 의료용 마약을 남용하는 일부 병원의 행태 또한 마약사범을 양산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이제 진정한 마약과의 전쟁에 나설 때다. 단속 시스템을 강화해 유통 조직을 뿌리 뽑고,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 정부도 내년도 마약류 대응 예산을 올해의 2.5배 수준인 602억원으로 확대 편성, 마약과의 전쟁을 본격화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 대목에서 신종마약류 퇴치에 전략적 우선순위를 둘 것을 제안한다. 신종마약에서 가장 취약한 계층이 우리의 미래인 청소년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