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현장에서 '청년'들을 찾아보기 어렵다. 특히 국가 경제를 지탱하는 제조업들이 밀집된 산업단지는 '청년 실종'이 더욱 심각하다. 제조업 현장에 있는 청년을 붙잡고 신규 인력을 유입시키려는 방안이 모색돼야 하는 데, 정책에서 오류가 발생했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산업단지 3대 킬러규제 혁파안'으로 산단에 민간 투자를 촉진 시키고 청년 종사자를 불러모아 '산업캠퍼스'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런데 정작 산업단지 청년들이 원하는 정책은 축소하고 있어, 계획과 정책이 충돌한다는 비판이 터져 나온다.

대표적인 사례가 '청년동행카드'다. 노후화된 산업단지 특성상 주차난이 심각하고, 원거리 출퇴근이 많아 교통비가 많이 든다. 그러나 영세한 회사는 이를 지원해 주지 못한다. 이 때문에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에 다니고 있는 청년(만 15~34세)에게 한 달에 5만원까지 교통비를 지원해주는 청년동행카드에 대한 호응이 높았다. 교통비 지원을 받은 청년들의 만족도는 2019년 86.5점에서 2022년 91.1점까지 해를 거듭할수록 높아졌다. 2021년 기준 미지원기업에 비해 지원기업의 고용유지율이 32%p가량 높았다고 조사된 바 있다. 그런데 정부는 예산 부족을 이유로 올해 사업을 종료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역시 마찬가지다. 중소·중견기업에서 일하는 청년이 2년간 300만원을 적립하면 정부·기업이 공동적립해 1천200만원의 목돈을 만들어준다는 것인데 이 사업 또한 축소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대중소기업 간의 심각한 급여 격차는 청년 구직자들이 중소기업이 밀집한 산단을 기피하는 최대 이유인데, 정작 중소기업에 재직하는 청년들의 목돈 마련에는 정부가 발을 뺀 셈이다. 이 때문에 정부가 중소기업에 재직하는 청년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사업은 폐지하면서, 중소기업 현장에 청년 유입을 늘리겠다고 하니 어리둥절한 것이다.

경인일보 취재기자가 현장에서 만난 청년들은 좋은 근로환경이 새 건물이나, 편의시설 확대처럼 거창한 것이 아니라고 했다. 실제 어려움을 겪는 부분, 노력해도 안되는 부분을 정부가 평등하게 보완해 주길 바란다고 했다. 산업단지 제조 현장에서 묵묵히 일하는 청년들은 자신들이 흘리는 땀에 대한 공정한 대우를 바란다. 그나마 정부가 도와줄 수 있는 게 교통비나 공제 지원이다. 이마저도 없애거나 줄이면서 제조업 현장에 청년을 유입시키겠다니, 공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