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생애주기별 정책 개발을 연계하고자 추진한 인천시사회서비스원과 인천여성가족재단 간 연구 조직 통합이 부작용 우려가 제기되면서 결국 무산됐다.
11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시,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인천여성가족재단, 관련 분야 관계자가 모여 지난 4월 구성한 '기관 연구 조직 통합을 위한 태스크포스(TF)'가 최근 활동을 마무리했다.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인천여성가족재단 연구 조직 통합 TF는 그동안 5차례에 걸쳐 연구 기능·조직 통합을 논의했으나, 두 기관의 연구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앞서 인천시는 지난 2월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의 연구 기능·조직을 인천여성가족재단으로 옮겨 통합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두 기관이 각각 진행하는 연구가 체계적이지 않다는 게 계획 수립 당시 인천시 판단이었다.
인천시는 생애 전반에 걸친 복지 정책을 개발하고, 조직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해선 두 기관의 연구 기능을 합쳐야 한다고 봤다. 두 기관의 연구 기능 통합은 인천시 시정혁신과제인 '인천시 산하 공공기관 혁신 추진 계획'에 포함되기도 했다.
市, 5차례 TF… '기능 유지' 결론
연구관점 달라 전문성 약화 배경
그러나 인천시가 두 기관의 연구 기능 통합 작업을 본격화하자 각 기관과 관련 분야 단체 등 지역사회 반발이 이어졌다. 두 기관은 설립 취지와 복지 분야에서의 연구 관점이 다르고, 기관 간 연구 기능을 통합할 경우 '여성' 등 특정 분야 연구가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두 기관의 연구 기능 통합이 양쪽의 기능을 약화할 것이란 주장도 제기됐다.
결국 인천시와 해당 기관들은 연구 기능을 통합하지 않는 대신 각자 역할에 집중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대신 두 기관이 협업하는 연구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인천시사회서비스원과 인천여성가족재단은 TF 종료 직후부터 '연구 기능 활성화 계획(혁신안)'을 마련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이나 인천여성가족재단이 인천 복지 분야 연구의 싱크탱크 역할을 제대로 했으면 좋겠다는 취지로 연구 기능 통합을 시정혁신과제로 추진했던 것"이라며 "두 기관 모두 기능 통합 대신 애초 시정혁신과제 취지를 살릴 방안을 찾자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했다. 이어 "인천시는 두 기관의 연구 중복을 줄이고, 연구의 질을 높이는 방안으로 서로 협력하도록 기관 역할을 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