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01.jpg

 

경기도를 비롯해 각 지역에서 의대 증원에 대한 목소리가 커진(10월 6일자 19면 보도=20여년 발 묶인 경기도내 의대 정원… '의료 붕괴 우려') 가운데, 정부가 오는 19일 의대 정원 확대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의대 정원 확대 규모와 일정은 물론 방식 등도 발표될 것으로 전해졌는데, 1천 명이 넘는 대규모 수준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15일 정부 및 의료계 등에 따르면 의대 정원은 2000년 의약분업에 반발한 의사단체의 요구로 10% 줄어든 뒤 2006년 이후 3천58명으로 묶여 있다.


2025년도 대학입시 확대 시점 전망
의료계 "전보다 반발 커질 것" 경고


2021년 우리나라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1천명당 2.6명으로, 전체 회원국 중 멕시코(2.5명) 다음으로 적다. 우리나라는 의사 수와 의대 정원이 모두 서울에 집중된 다소 기형적인 형태의 의료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만큼, 지방이나 지역인재에 중점을 두고 정원을 늘릴 가능성이 점쳐진다.

실제 인구 1천 명당 의사 수는 2021년 기준 서울 3.37명으로, 전국 평균(2.13명)을 훨씬 넘는 반면, 같은 수도권이라 하더라도 경기는 1.68명, 인천은 1.77명에 불과하다.

국민의힘과 정부, 대통령실은 이날 이와 관련한 당정 협의를 갖기도 했다. 정부는 정원 확대가 시작되는 시점을 지금 고등학교 2학년이 시험을 보는 2025년도 대학입시로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의료계 반발이다. 의료계는 반발이 2020년 파업 당시보다 더 커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의대 증원을 논의하기에 앞서 필수의료 수가 개선 등 의사를 필요한 곳에 적절히 배치할 수 있는 정책부터 선행돼야 한다고 입장이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