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내달부터 강화·옹진군 일부 지역에 주거, 관광 등 목적에 맞는 시설 배치를 유도하는 관리 계획을 적용한다.

인천시 도시계획위원회는 25일 오후 '강화·옹진 성장관리계획구역 지정 및 성장관리계획안'을 원안 가결했다.

이번 계획안은 인천 강화·옹진군 일부를 성장관리계획구역으로 지정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건축물 용도를 구분하기 위해 인천시가 상정한 안건이다. 성장관리계획구역은 무질서한 개발이 예상되거나 인구 감소, 경제 성장 정체로 빠른 성장이 필요한 지역을 의미한다. 기반시설계획부터 주거, 관광 등 건축물 용도 제한, 건폐율, 용적률, 환경관리계획, 경관계획이 포함된다.

市 도시계획위, 구역 지정안 가결
지역 특성 맞게 건축물 용도 구분
상야동 일대 개발제한구역관리도


성장관리계획구역으로 지정되는 지역은 강화군 75.3㎢와 옹진군 29.3㎢다. 인천시는 강화군 전체 성장관리계획구역 건축물 용도별 면적 중 약 68.9%(51.9㎢)를 단독·연립·다세대주택만 들어설 수 있는 주거형으로 제한했다. 이들 지역은 대부분 마을이 몰려있는 곳이다.  

 

이들 지역에 들어설 수 있는 건축물 용도를 나눠 공장이나 창고시설, 위험물 저장·처리시설, 장례시설 등 주거지에 적합하지 않은 시설 배치를 막기 위한 조치다. 나머지는 주거·산업 관계없이 들어설 수 있는 일반형 20%(15.1㎢), 관광형 10.8%(8.2㎢)로 구성됐다.

옹진군 성장관리계획구역 건축물 용도별 면적은 일반형이 12.6㎢로 43%를 차지하고 이어 관광형(29.3%), 주거형(27.3%) 순이다. 옹진군은 도서 지역 특성상 주거지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일반형 면적이 가장 많은 유형을 차지하게 됐다.

인천시는 연내 강화·옹진군 지역을 성장관리계획구역으로 지정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내달 중 성장관리계획구역 지정을 고시할 예정"이라며 "(성장관리계획구역으로 지정되면) 지역별 특성에 맞는 계획적인 개발이 추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인천시 도시계획위는 이날 '2026년 수도권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안'도 원안 가결했다. 이 계획안에는 개발제한구역인 계양구 상야동 일대에 국방·군사시설인 '경호안전교육원 특수운전훈련장'을 설치하고 훼손지 일부를 복구하는 계획 등이 포함됐다.

이밖에 옹진군, 남동구, 서구 지역 용도지역 미지정지의 토양, 입지, 활용 가능성 등 토지 적성을 평가한 '토지적성평가 적성등급 다 등급 지역 도시관리계획 용도지역 입안 여부 결정'과 검암역세권 공공주택지구 송전선로 지중화 공사로 송전선로 선형을 변경하는 '도시관리계획시설 전기공급설비, 철도, 도로, 광장 결정변경안'도 원안 통과됐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