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합계출산율이 전국 평균(0.78명)보다 낮은 역대 최저치 0.75명을 기록한 가운데 지역 저출산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양육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생애주기별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31일 인천연구원이 내놓은 '인천형 생애주기별 맞춤형 저출산 정책방안'에 따르면 인천 지역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양육비(2021년 기준)는 각각 71만원, 90만원으로 다른 지역과 비교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연구원은 저출산이 자녀 양육 부담과도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지역사회 내 사교육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는 돌봄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밖에 지역별 수요를 파악해 적정한 육아 인프라 공급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인천 육아 인프라는 인구 감소에 따라 적정 수준을 유지하는 구도심과 달리 연수구, 서구 등 국제도시, 대규모 신도시가 조성되는 지역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함께 청년 가구의 경제적 안정이 결혼, 출산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 지역에서 청년을 대상으로 한 주거 복지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인천연구원 관계자는 "인천은 지역별 육아 인프라 공급면에서 차이가 큰데, 수요가 높은 신도시에 보육시설을 확충하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며 "청년의 주거 안정을 위한 월세 비용 지원 등 지자체 차원의 주거 안정 정책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