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산하 정책연구기관인 경기연구원의 한 직원이 전산 물품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사실이 내부 감사에서 뒤늦게 드러났다. 특히 경기도는 매년 예산집행 등과 관련해서 지도·점검을 벌이고 있지만, 이 같은 사실조차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관리에 구멍이 뚫린 게 아니냐는 비난마저 나온다.
14일 경기도와 경기연구원 등에 따르면 올해 5월 말께 컴퓨터와 노트북, 모니터 등 100여대가 넘는 전산 물품의 관리가 소홀하게 관리되고 있다는 민원이 감사실에 접수됐다. 이에 감사실 측이 7월부터 한 달여간 감사를 벌인 결과 구매 내역과 달리 제품 사양이 다르거나 일부는 아예 구매조차 하지 않은 사실이 확인됐다.
상황이 이렇자 경기연구원 측의 제 식구 감싸기가 도를 넘은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직원 B씨는 "사유가 분실이나 파손, 관리 소홀이던 실물 자체가 없다는 게 횡령이라고 생각한다"면서 "그런데도 경기연구원에서는 짜고 치는 의미 없는 감사로 조용히 덮고 넘어가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해당 전산직 직원은 업무 내내 주식만 한다. 동료로서 함께 일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면서 "더 큰 문제는 이런 사실을 전 직원이 다 아는데도 아무런 조치가 이뤄지지 않는 것이다. 도대체 왜 그 직원을 감싸고 도는 건지 이해를 못 하겠다"고 지적했다.
전산물품 100여대 구매 내역 달라
아무런 조치 없어 '감싸기' 지적도
경기연구원 측은 관리 소홀에 대한 부분은 인정하면서도 감사 등 적절한 조치를 했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경기연구원 관계자는 "컴퓨터 등 전산 장비를 오래 사용하거나 분실하는 경우가 있는데, 관리를 소홀하게 한다는 민원이 제기됨에 따라 감사를 진행한 건 사실이고 일부 관리가 소홀했던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지난 10월 인사위원회를 열었고 조만간 경징계(감봉 1개월) 처분이 내려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는 해마다 한 차례씩 경기연구원의 운영 전반에 대해 지도·점검을 시행 중이지만, 해당 사안에 대해서는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실 관리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연구원의 예산결산이나 회계, 계약, 인사 복무 등 운영 전반에 대해서 연초 점검을 하는데 전산 물품 관리에 대한 문제는 확인되지 않았다"며 "만약 경기연구원 감사에서 적발된 사안이라면 자체적으로 처리할 것이다. 도 차원에서는 따로 조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