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구역 개편에 앞서 도시 간 협력 체계 강화로 인천과 그 주변 도시의 공동 발전을 꾀하는 '메가 폴리스'를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인천시의회에서 나왔다.

21일 인천시의회 본회의 5분 발언에서 이용창(국·서구2) 의원은 "도시를 서울에 인위적으로 붙여 면적과 인구수만 늘리는 방식이 아닌 광역 행정을 통해 생활 편의를 증진시키는 미래지향적 행정 체제로 진화해야 한다"며 "'메가 폴리스 인천' 방안을 인천시가 전국에 공표하고 강력한 의지로 추진할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메가 폴리스 구상은 유정복 인천시장이 민선 8기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난해 2월 출간한 'www.유정복.com'에서 김포·부천·시흥시를 아우르는 도시 조성 방안으로 제안한 개념이기도 하다. 시장에 취임한 뒤 지난 3월에는 김포·부천·시흥시에서 안산시를 포함한 '서부 수도권 연합' 구축을 제안했다. 인천시는 '광역 경제 벨트' 구축을 목표로 지난 9월 '인천 연계 도시 간 생활권 현안 발굴 및 강화 방안' 연구에 착수했다.

인천시가 인접 도시와 협력해 '인구 500만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은 간간이 제기돼 왔다. 2020년 이학재 국민의힘 인천시당위원장(현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500만 제1광역시 조성'을 들고 나왔고, 2013년 당시 송영길 인천시장은 '메가 시티'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들의 구상과 메가 폴리스의 차이점은 행정 구역 통합보다 도시간 협력 체계 구축에 방점을 찍은 데 있다.

이용창 의원은 "수도권에서 (메가 폴리스 구성에 대해) 정치권의 논의가 가장 활발했던 곳이 인천"이라며 "단순히 말로 해결되는 주제가 아닌 만큼 장기적 관점에서 미래지향적인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