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래가 나온 지 반세기가 지난 지금도 서울을 원하는 정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 여당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그 정서에 불을 댕기기 위해 김포의 서울 편입론을 꺼내 들었다. 서울 편입추진위원회를 발족한 경기도의 한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서울의 찬가'를 불렀다고 한다. 야당은 '주민 의견을 따르겠다'는 애매한 입장만 던져둔 채 불길이 잦아들길 바라는 눈치다.
역설적이게도 윤석열 정부는 올해 '지방자치'와 '균형발전'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9월에는 부산에서 '지방시대 선포식'을 열었고, 이달 초에는 대전에서 '제1회 지방자치 및 균형발전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대통령은 기념식에서 "지역 경쟁력이 곧 국가 경쟁력"이라며 "다 함께 잘 살아 보자"고 했다.
김포의 서울 편입론은 대통령의 발언과 상충한다. 서울로 집중될수록 다 함께 잘 살기는 어려워진다. 집중과 균형은 함께 갈 수 없다. 집중은 위계를 형성하고, 위계는 서열을 동반한다. 서울에 집 한 채 가진 것이 성공의 잣대가 된 지금이 과연 바람직한가. 매일 서울로 출퇴근 전쟁을 벌이는 인구가 늘어날수록 우리 사회는 더 불행해진다.
서울을 중구와 종로, 용산 등 국가 주요기능이 위치한 일부 지역만 남겨두고 과감히 줄이는 건 어떨까. 나머지 지역은 고양시 은평구, 하남시 강동구, 인천시 강서구 등으로 재편해보자는 의미다. 혹자는 뜬구름 잡는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으나, 서울시 김포구도 뜬금없긴 마찬가지다. 부동산에 대한 욕망을 표 한 장과 맞바꾸려는 얄팍한 생각은 거두고, 어떡하면 국민들이 조금은 덜 치열하게 살아도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정치가 필요한 시기다.
/한달수 인천본사 경제부 기자 dal@kyeongin.com
지금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