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해수위, 내년 R&D 120억 증액
유전 관련 61억여원… 14배 확대
항생제·치매치료 물질 발굴 성과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극지연구소 해양환경 연구개발(R&D) 내년도 사업 예산이 총 120억원가량 증액될 전망이다. 그중 극지 유전자원을 활용하는 기술개발사업은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예산안에서 14배 이상 증액되면서 올해 수준보다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하 농해수위) 등은 최근 열린 전체회의에서 극지 개발·탐사·환경관측·해저조사 등에 필요한 예산을 약 120억원 증액 의결했다. 농해수위가 증액한 예산 중 해양수산부 산하 극지연구소 예산은 110억원으로 집계됐다. 극지연구소 예산은 당초 정부의 내년도 극지 연구 중기재정계획에 담긴 1천58억원의 약 70% 수준으로 삭감(10월12일자 1면 보도=정부 R&D 예산 긴축 '후폭풍'… 극지연구 경쟁력 약화 불보듯)되면서 미래 신산업 선점에 필요한 전문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예산은 극지 유전자원 활용 기술개발사업이다. 정부 예산안 4억3천500만원에서 61억2천300만원으로 증액됐다. 올해 예산 규모 48억7천700만원과 비교해도 더 늘어난 수치다. 농해수위는 이 사업으로 항생제 선도 물질 개발, 치매 치료 물질 발굴 등 성과를 냈다는 점에서 충분한 예산을 확보해 극지 연구 지속성을 보장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극지 해양환경 및 해저조사사업 예산은 61억8천600만원에서 95억6천700만원으로 증액 의결됐다. 극지 해양환경 변화 데이터를 확보하고 기후변화 대응력을 강화하는 게 주된 사업 내용이다.
극한지 개발 및 탐사용 협동 이동체 시스템 기술개발 사업 예산(22억700만원→32억5천400만원)과 급격한 남극 빙상 용융에 따른 근미래 해수면 상승 예측기술개발사업 예산(38억9천600만원→48억7천만원)도 늘었다. 단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 예산은 연차별 계획에 따라 필요한 예산을 투입하기로 농해수위와 해수부 간 합의하면서 예산 증액이 이뤄지지 않았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해양극지 기초 원천기술 개발사업 예산을 정부가 제출한 40억원에서 10억원 늘린 50억원으로 증액했다.
각 상임위는 이번에 의결한 예산이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도 반영되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22일 국회에서는 정치권, 극지연구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관계자가 참석해 극지연구 정책·성과·전망을 논의하는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에 참석한 박찬대(민·연수구갑) 의원은 개회사에서 "국가 '미래 먹거리 기술 확보'와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막중한 책임은 극지연구소가 짊어지고 있다"며 "정부, 부처, 연구기관과 긴밀히 협의해 극지 연구개발 예산을 최종적으로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
국회서 되살아난 '극지연구소 예산'… 유전자원 활용 연구 대폭 늘려
입력 2023-11-22 20:38
수정 2024-02-07 15: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23-11-23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정부 R&D 예산 긴축 '후폭풍'… 극지연구 경쟁력 약화 불보듯
2023-10-11
-
정부, 연구개발 예산 삭감 여파… 인천 뿌리산업·강소특구 '불똥'
2023-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