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탄희 행보에 지도부 ‘곤혹’ 표정
한켠에선 “의미있는 선택” 호평도
논의 부담감에 의원총회 하루 연기

더불어민주당이 선거제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를 당초 29일에서 하루 연기한 데는 ‘선거제 논의의 부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9일 민주당 원내지도부의 한 관계자는 “이날 오전부터 의원들한테 전화가 많이 왔다. 의원들은 선거제 토론에는 의원 다수가 참석했으면 좋겠는데, 오늘보다는 본회의 참석차 국회에 꼭 오는 내일이 유리할 것이라는 의견을 줬다. 또 선거제에 대해 숙고의 시간이 좀더 필요하다고도 했다. 이에 최고위원회의에서 연기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참석 인원 등을 명분으로 들었지만 결국 민주당으로 향하는 선거제 결정 압박이 의총 연기의 이유였단 얘기다.
이날도 민주당 내·외부에서 압박이 계속됐다. 이재명 대표를 방문한 정의당 김준우 비상대책위원장이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윤석열, 약속을 지키는 이재명의 대조점을 저희는 기다리고 있다”며 병립형 회귀를 막아주길 당부했으나, 이재명 대표는 어떤 답도 하지 않았다. 기자회견장을 찾은 기본소득당도 ‘선거제 개악을 막고 연대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당 내·외부의 압박이 부담인 데는 연동형 비례제 선택이 쉽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 같은 이유로 당지도부와 원내지도부가 이탄희 의원의 용인정 지역구 불출마 선언을 곤혹스럽게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이날 지도부 관계자 다수는 이 의원의 결정이 “당을 전혀 배려하지 않은 처사”라고 비판했다.
이중 한 관계자는 “이 의원의 의견을 존중해 여러 차례 소통하고, 의총을 열어 의제로 삼는 등 당이 할 일을 해오고 있는데, 자기 의견만 중요한 듯 지역구를 던진 것은 이기적”이라며 지도부의 입지를 좁혔다고 비판했다.
또 이 관계자는 지역구관리 차원에서도 ‘잘못된 선택’이라고 말했다. 그는 “표창원 전 의원이 용인정을 버린데 이어 이 의원까지 잇달아 지역구를 내려놓았다. 이제 민주당은 이 지역 주민에게 어떻게 표를 호소할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반면 연동형 비례제를 확신하는 의원들은 이탄희 의원의 결단을 ‘정치사에 의미있는 선택’이라며 추어올리기도 했다.
이학영(군포)·김두관·송재호·민병덕(안양동안갑)·장철민·민형배·강민정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우리 의원들은 연동형비례를 사수하고 위성정당을 금지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지역구에 불출마하겠다고 밝힌 이탄희 의원의 결단과 희생을 지지하고 환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병립형과 위성정당은 소탐대실이다. (우리는) 민주당의 약속대로 위성정당을 막고 연동형 비례제의 취지를 지키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더해 민형배 의원은 “이탄희 의원의 승부수가 정치사에 중요한 의미를 갖고, 총선에서 특별한 전기가 될 것으로 본다”며 “촛불시민이 명령했던 연합정치를 되살리는 전선의 맨 앞에서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고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