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시 내 행정동의 이야기를 담은 ‘마을 이야기’ 책자를 주민자치회의가 아닌 수원시에서 개입해 제작했다는 주장(11월30일자 7면 보도=수원시 ‘마을 이야기’ 책자 제작, 주민자치회 아닌 수원시가 주도?)이 제기된 가운데 일부 업체에 일감을 몰아준 정황이 드러나 특혜의혹이 일고 있다.
3일 수원시 등에 따르면 올 초부터 관내 모든 동에서 주민자치회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마을이야기 책자 제작업체 현황 자료를 보면 A기획 등 총 18개 업체에서 책자를 제작했다.
각 동별로 1개 동과 계약을 맺은 업체는 11곳, 2개동 2곳, 3개동 2곳, 4개동 1곳, 5개동 1곳에서 제작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가운데 전체 44개동 중 14개동(31%)에서 B업체를 선정·계약해 책자를 만든 사실이 뒤늦게 확인돼 일감을 몰아준 게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해당 업체는 14개동(제작비 200만~500만원)의 책자 제작을 맡아 대략 5천700여만원에 달하는 수익을 낸 것으로 추산된다.
이날 현재 이 업체 홈페이지에는 ‘수원시 마을 이야기 프로젝트 거래 출판사’라는 홍보 문구까지 버젓이 올라와 있는 상태다.
앞서 지난달 열린 시 행정사무감사에선 명목상 마을 이야기 책자 제작사업일 뿐 사실상 주민자치사업이 아닌 시 주도로 이뤄진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 바 있어 특정인의 입김이 작용한 전형적인 일감 몰아주기 행태라는 논란마저 일고 있다.
실제 당시 행정사무감사에서는 마을 이야기 제작 과정에서 시가 각 동에 공문을 두 차례 발송해 주민자치사업이란 취지를 무색하게 했다는 지적이다.
한 시의원은 “(업체 일감 몰아주기 의혹과 관련)특정 동의 마을 이야기 책자가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면서 시 차원의 공문을 통해 44개 동이 모두 책자를 만든 것만으로도 주민자치를 훼손한 행태이기 때문에 비판받아 마땅하다”면서 “심지어 동마다 각각 진행한 계약마저 특정 업체에서 전체 물량의 약 30%를 독점했다고 하니 사업을 적극 추진한 시의 진정성마저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B업체가 여러 동과 계약했다는 건 전혀 모르고 있었다”며 “동별로 업체를 선정해서 자세한 사항은 모르지만, B업체에서 먼저 동에 연락해 계약했다고 들었다”고 밝혔다.